사설
‘김재록 사건’의 불씨가 재계 2위인 현대차그룹의 비자금 파문으로 번졌다. 전격적인 압수수색에 이어 핵심 계열사 사장을 구속했고 자금 담당자를 줄소환하는 등 검찰 수사가 긴박하다. 사건의 방향을 예단할 순 없지만 지금까지 검찰이 밝힌 단서와 혐의만으로도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검찰이 확인한 건 본사 사옥 증축 과정의 인·허가 관련 의혹뿐이다. 건설교통부와 서울시가 연관된 사안이다. 그러나 검찰 말로도 이는 수많은 의혹 중의 하나다. 비자금을 조성한 글로비스는 현대차그룹의 경영권 승계에 핵심적인 계열사이고, 구속된 사장은 오랫동안 그룹의 재무통 노릇을 하던 인물이다. 현대차가 지난 몇 해 동안 공격적으로 사세를 넓혀온 점도 ‘비자금 경영’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구조조정 관련 사업을 싹쓸이하고 정·관계 고위층 자녀들이 몰려드는 ‘실세’한테 줄을 대려 한 기업이 현대차뿐이었겠는가 의문도 든다.
무릇 조그만 단서 하나로 불법의 몸통이 드러나는 게 비리 사건의 특징이다. 현대차 비자금도 불법 정치자금 사건을 조사하다 불거진 김씨의 로비 단서를 쫓던 중에 발견한 것이다. 물론 투망식으로 기업을 뒤져 별건의 불법 행위를 문제삼는 건 온당치 않다. 그러나 불법 로비가 본류이고 비자금은 지류라는 검찰의 태도는 안이하다. 드러난 꼬리의 몸통을 드러내지 못한다면 국민들을 납득시킬 수 없다.
대기업들이 불법 대선자금 제공을 반성한다며 대통령까지 불러다 투명사회 협약을 맺은 게 불과 1년 전이다. 굴지의 재벌기업이 검은돈으로 특혜를 누렸다면 사법적 단죄는 마땅하다. 얼마나 많은 비자금이 무슨 목적으로 어디로 흘러갔는지 검찰은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 관련자는 누구라도 불러 조사하는 게 당연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