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공사 현장에서 안타까운 죽음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5일 경남 창녕군의 낙동강 18공구 현장에서 준설 작업을 하던 굴착기 기사가 숨진 데 이어, 16일에는 경북 의성군의 낙단보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던 노동자 2명이 숨지는 참사가 일어났다. 불과 이틀 새 3명의 노동자가 숨진 것으로, 올해 들어서만 벌써 10명의 노동자가 생명을 잃었다. 그럼에도 변변한 사회적 관심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이들 건설노동자의 죽음은 무엇보다 4대강 속도전이 낳은 ‘예고된 인재’라는 점에서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의 핵심인 준설 및 보 공사를 올해 상반기에 끝내겠다고 무리하게 밀어붙이면서 공기 단축을 위해 현장에서 나타나는 안전조처 소홀, 야간·밤샘 공사 등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16일 숨진 두 노동자만 하더라도 전날 저녁부터 이날 낮까지 밤을 새우며 3층짜리 기계실의 상부 슬래브를 콘크리트로 덮는 공사를 한 뒤 확인 작업을 하러 올라갔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속도전 탓에 4대강 현장은 ‘죽음의 공사장’으로 변하고 있다. 안홍준 한나라당 의원이 어제 내놓은 국토해양부 자료를 보면, 4대강 공사 사업장 154곳 가운데 하루 법정 노동시간인 8시간을 지키는 곳은 고작 2곳뿐이었다. 대부분의 공구에서 노동자들은 하루 평균 10~11시간을 일하고 있고, 보 설치 및 수중준설 지역인 낙동강 32공구와 영산강 1공구의 경우엔 하루 평균 17시간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 그대로 살인적인 노동시간이다. 이런 상황에선 노동자들의 피로가 쌓이고 주의력이 떨어져 대형 안전사고가 날 가능성이 크다. 지난 2월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이 낸 자료를 보더라도,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산업재해를 입은 사람 가운데 사망자의 비율은 37.5%로, 일반 건설현장의 재해 대비 사망률(2.7%)을 훨씬 웃돈다.
고용노동부와 국토부 등은 당장 4대강 현장의 작업환경에 대해 철저한 감시·감독을 벌이고 위법행위를 처벌해야 한다. 쇠귀에 경 읽기인지 모르겠으나, 정부는 4대강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고 사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길 바란다. 다른 한편으로 좀더 많은 이들이 4대강을 찾아가 이 정부의 과시욕과 성과주의가 지금 어떤 비극을 낳고 있는지 두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