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경기도 여주의 한강 이포보 등지에서 4대강 사업의 완공을 알리는 ‘4대강 새물결맞이 행사’가 열렸다. 이명박 대통령은 축사에서 “4대강은 환경을 살리는 강으로 태어났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형 보를 만들어 물길을 막고, 강 주변을 온통 콘크리트로 치장한 4대강 사업이 환경을 살리는 사업일 수 없다.
4대강 사업은 애초부터 불필요한 사업이었다. 4대강 사업 필요성의 중요한 근거로 드는 홍수 피해도 4대강 본류에서는 그리 크지 않았다. 홍수 피해가 지류에 집중됐음에도 이 정부는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4대강 사업을 해야 한다는 억지 논리를 들이댔다. 더욱이 4대강 사업이 거의 끝난 올해의 홍수 피해는 강우량이 비슷했던 2006년에 비해 오히려 늘었다. 한강의 경우 홍수 피해 규모가 2006년의 1039억원에서 올해는 1918억원으로, 낙동강은 357억원에서 576억원으로 늘어났다.(민주당 강기정 의원 분석)
그럼에도 이 대통령은 굽이굽이 살아 흐르는 4대강을 죽은 강이라고 국민을 오도한 뒤 무려 20조원이 넘는 혈세를 쏟아부어 자연하천을 ‘인공수조’로 만들어 버렸다. 기괴한 형상의 대형 보와 자전거도로, 생태공원 등이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자연과는 제대로 어울릴 수 없는 인공구조물일 뿐이다. 대형 보에 갇힌 물이 썩어들어가고, 콘크리트로 단장한 강 주변이 무너지면 또 얼마나 많은 혈세가 추가로 들어갈지 모른다. 인공수조로 변한 4대강은 앞으로 두고두고 혈세를 잡아먹는 애물단지가 될 것이다.
더 큰 문제는 4대강 사업 완공을 계기로 강 주변에 개발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는 점이다. 4대강 사업을 억지로 떠맡아 빚더미에 오른 수자원공사뿐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까지 수익을 목적으로 4대강 주변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골프장이나 관광·레저단지 등 수질오염에 치명적인 시설이 들어설 경우 강물 오염은 불을 보듯 뻔하다. 4대강 사업이 강물 오염과 4대강 주변의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하는 기폭제가 된 셈이다.
4대강 사업은 온전히 이 대통령의 구시대적 토건주의의 산물이다. 시대에 뒤처진 토건주의로 대자연의 흐름을 거스른 4대강 사업은 결국 자연의 보복을 당할 수밖에 없다. 대규모 홍수와 수질오염 등 앞으로 현실화할 ‘4대강 재앙’이 벌써부터 걱정된다.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