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벌 총수 9명이 6일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일해재단 출연 건으로 1988년 재벌 총수들이 국회 청문회에 나온 지 28년 만에, 거의 비슷한 내용의 청문회가 다시 열렸다. 6명은 과거 청문회에 불려 나온 재벌 총수의 2세다. 정경유착이 대를 이어 지속되는 것을 보는 마음 착잡하다.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박근혜 대통령과 재벌들은 ‘공범’으로 보기에 무리가 없다. 재벌 총수들은 미르·케이스포츠재단 등에 돈을 내기에 앞서 박 대통령을 독대했다. 그 전에 각 그룹의 민원성 현안이 담긴 자료가 청와대에 건네졌다. 그 뒤 재벌들은 일사천리로 돈을 냈다. 단지 좋은 취지의 국가 사업을 위해서였다면 이렇게 비밀리에 대통령과 재벌 총수가 따로 만나 가며 추진할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재벌 총수들은 미리 입을 맞추기라도 한 듯 ‘돈을 낸 것에 대가성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일부는 피해자로 행세하기도 했다. 뇌물 성격이 있다고 자인할 수는 없다는 뜻일 게다. 결국 특별검사가 철저히 수사해 진상을 밝히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할 줄 모르는 재벌 총수들의 태도는 박 대통령의 엉뚱한 사과와 함께 국민의 기억에 오래 남을 것이다.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의원들의 질문에 많은 재벌 총수가 ‘모른다’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대답한 것도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삼성은 두 재단에 출연한 것과 별개로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를 위해 수십억원을 건넸다. 이 돈을 누가 결재했느냐는 질문에 이재용 부회장은 “(지금도) 모른다”고 대답했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박 대통령을 독대한 뒤 최순실씨가 실소유주인 광고회사에 현대기아차 광고를 주라는 요청을 받았는지 묻는 질문에 “기억이 잘 안 난다”고 답했다. 그런 이들이 한국을 대표하는 재벌기업을 경영할 능력이 과연 있는지 묻고 싶다.
삼성 등 몇몇 그룹 총수는 전경련에서 탈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삼성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로비를 지휘한 의혹을 받는 미래전략실도 폐지할 뜻을 밝혔다. 전향적인 조처이긴 하나 환골탈태라고 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앞으로 재벌개혁 요구가 분출할 것이다. 삼성뿐 아니라 모든 재벌기업이 오랜 구태를 벗기 위해 서둘러 깊고 넓게 성찰해야 할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