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02 20:55 수정 : 2005.02.02 20:55

전국민주노동조합 총연맹이 안팎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사회적 교섭 안건’을 처리하려고 연 임시대의원대회가 의사 정족수 미달로 유회되는 과정에서 폭력사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의 폭력사태는 내부의 갈등에 그치지 않는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노조의 인사채용 비리에 이어 민주노총에 대한 외부의 부정적 여론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아무리 ‘사회적 교섭안건’ 자체가 민주노총의 진로에 중요한 쟁점이었다고 하더라도, 안건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폭력사태가 빚어진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더구나 단순히 단상 점거에 그치지 않고, 소화전의 호스로 물을 뿌리거나 의자와 시너병을 던진 것은 누가 뭐래도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었다. 폭력으로 얼룩진 대회현장을 텔레비전 방송으로 본 국민 대다수도 안타까움을 넘어 실망했을 게 분명하다.

문제는 안건을 둘러싼 민주노총의 갈등이 쉽게 치유될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는 데 있다. 폭력사태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질 경우, 사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대의원대회에서 표결처리를 강행하려던 이수호 위원장이 ‘사퇴 배수진’까지 쳤음에도 유회됨으로써 지도력에 ‘손상’을 입은 것도 내부 갈등을 풀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 민주노총 집행부와 대의원들이 명심할 것은 내부 갈등으로 힘이 약화될 때, 그 여파가 비단 민주노총 조합원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엄연한 사실이다. 이미 정부와 여당은 민주노총이 반대해 온 비정규직 법안을 처리하겠다고 밝혔고, 한나라당은 한술 더 떠 정리해고 요건을 완화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폭력사태에 대해 두 당이 한목소리로 비난하고 나선 것도 유의할 대목이다. ‘사회적 교섭’에 찬성하는 쪽이든 반대하는 쪽이든, 서둘러 폭력사태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단결에 나서야 할 이유가 여기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