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규모와 이전 기관
정부산하기관 129곳 이전
중앙정부 산하기관 129곳이 옮겨지는 전국 10개의 혁신도시 지구 지정이 모두 끝났다. 혁신도시는 올 9월부터 착공된다.
건설교통부는 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2회 혁신도시위원회(위원장 이용섭 건교부 장관)를 열어 전북 전주·완주, 대구 신서, 울산 우정, 제주 서귀포, 부산 동삼·문현·센텀 등 5개 혁신도시 개발예정지구를 지정했다. 건교부는 앞서 지난 3월7일 경북 김천, 강원 원주, 광주·전남 나주, 충북 음성·진천, 경남 진주, 부산 대연 등 6개 지구 지정을 마쳤다.
이에 따라 혁신도시 10곳의 지구 지정이 모두 끝났으며, 4월 토지 평가·보상, 5월 개발계획 수립을 거쳐 9월부터 순차적으로 착공된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이전에 따라 건설되는 신도시·신시가 지구로 작은 혁신도시(50만~100만평)는 2만명, 큰 혁신도시(150~250만평)는 5만명을 수용하게 된다. 2012년까지 공공기관이 먼저 이전하고 2013~2020년엔 민간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혁신도시는 과밀 지역인 서울과 인천·경기, 행정도시가 이전하는 충남, 중앙정부청사가 있는 대전을 제외한 11개 광역시·도(광주·전남은 공동 혁신도시 건설)에 건설된다. 지방으로 이전되는 175개 공공기관 가운데 129개는 11개 광역시·도, 40개는 행정도시, 6개는 충남에 배치된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