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이상 정보·첩보 노출로 북 자극 말아야”
한승수 국무총리는 17일 미국발 금융위기와 관련,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국내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무부처가 잘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미국 금융시장이 매우 불안하고, 단기적으로 우리 시장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어제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의 흐름이 이를 잘 반증하고 있다"며 이같이 지시했다.
그는 또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쉽게 끝날 것 같지 않다"고 진단한 뒤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의 협조가 절실하다"면서 "당국간 상호교류를 통해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해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9월 경제위기설에서 봤듯이 심리적인 요인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민의 불안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한 총리는 지난 9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제기된 정책과제와 관련, "이미 추진 중인 20건의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는 등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며 "각 부처는 피부에 와닿는 정책으로 국민기대에 부응해야 하고, 이명박 정부의 역점사항은 반드시 실천된다는 것을 국민에게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폐막을 앞두고 있는 베이징(北京) 장애인올림픽에 대해 "장애인선수단 귀국시 (하계) 올림픽 선수단 귀국과 동일하게 환영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가족부 등은 장애인 선수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운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한 총리는 마무리발언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설에 대해 언급, "북한 내부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고 국민과 전세계가 (북한 상황을) 궁금해 하고 있다"면서 "차후 어떤 상황이 전개될 지 현재로선 아무도 모르는 만큼 섣불리 예상해서도 안되지만 어떤 시나리오에도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주 일선 부대를 방문해 본 결과, 별다른 이상징후는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를 받았고 군의 태세도 철통같아 안심이 됐다"면서 "국방부, 외교통상부, 통일부 등 관련부처는 북한의 정치동향 분석과 대비책 강구에 나서야 하고 직접 관련이 없는 부처들도 비상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특히 "이런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정보 또는 첩보를 노출함으로써 북한을 필요 이상으로 자극하는 일이 없도록 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승관 정윤섭 기자 hum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 총리는 마무리발언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설에 대해 언급, "북한 내부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고 국민과 전세계가 (북한 상황을) 궁금해 하고 있다"면서 "차후 어떤 상황이 전개될 지 현재로선 아무도 모르는 만큼 섣불리 예상해서도 안되지만 어떤 시나리오에도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주 일선 부대를 방문해 본 결과, 별다른 이상징후는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를 받았고 군의 태세도 철통같아 안심이 됐다"면서 "국방부, 외교통상부, 통일부 등 관련부처는 북한의 정치동향 분석과 대비책 강구에 나서야 하고 직접 관련이 없는 부처들도 비상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특히 "이런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정보 또는 첩보를 노출함으로써 북한을 필요 이상으로 자극하는 일이 없도록 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승관 정윤섭 기자 hum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