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기업 60여곳에서 약 2만명의 인력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공기업 가운데 인력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곳은 69개, 1만9천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3~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정원을 줄이되, 인위적 정리해고가 아니라 자연감소와 명예퇴직 등을 충실히 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용불안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기업 인력을 감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이 관계자는 “참여정부 기간 공기업 정원을 너무 많이 늘려서 (공기업의) 생산성이 굉장히 낮아졌다는 판단”이라며 “지금 공기업의 정원을 더 늘리는 것은 명분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기업의 상위직 정원과 임금을 줄이고, 대졸자 초임을 낮춰서 생긴 인건비 여유분 일부를 갖고 청년인턴 채용을 대폭 늘리도록 계획을 세운 바 있다”며 “올해만 해도 공기업에서 1만2천명 정도 청년인턴을 채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녹색성장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정책이 상충된다는 지적에 대해 “이번에 해제한 그린벨트는 사실상 그린벨트로서 역할이 어려워진 ‘브라운 벨트’”라며 “그린벨트를 해제함과 동시에 녹색주거단지, 신재생에너지 연구단지 등으로 활용하거나 환경 친화적인 공간 조성에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