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회도 찬성가결…국회통과만 남아
경남 창원시의회가 11일 창원·마산·진해시 통합을 주민투표 없이 시의원 표결만으로 찬성 의결했다. 지난 7일 마산시의회와 진해시의회도 같은 방식으로 통합에 찬성했기 때문에, 정부의 통합시 설치법안 마련과 국회 통과 절차가 남아 있지만 이들 3개 시는 주민투표 없이 통합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의회는 이날 제132회 정례회 3차 본회의를 열어 재적의원 20명 가운데 19명이 출석한 가운데 ‘창원시·마산시·진해시 통합안에 대한 의견제시의 건’을 상정했다. 시의원들은 기립투표를 통해 한나라당 시의원 15명 모두가 찬성하고, 민주노동당 2명과 무소속 2명 등 4명이 반대해 통합에 찬성 의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르면 다음주 중으로 ‘통합시 설치법안’을 입법예고하는 등 후속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또 인구 100만 이상 통합시의 사무권한 확대, 교부세 추가지원 등의 내용을 담아 지난 3일 입법예고한 ‘행정특례 등에 관한 법률안’을 이달 말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달 안으로 창원·마산·진해시의회 의원 동수로 이뤄지는 ‘통합준비위원회’도 구성해 통합시 이름, 청사 위치, 지역발전방안 등 통합에 따른 준비사항을 협의하도록 할 방침이다.
창원·마산·진해시가 통합하면 인구는 경남 전체의 3분의 1 수준인 108만여명으로 광역시 규모가 된다. 이들 3개 시의 지역내 총생산액은 2006년 기준 21조7639억원으로, 20개 시·군으로 이뤄진 경남도 전체 지역내 총생산액 57조7085억원의 37.7%에 이른다.
하지만 최종 통합에 이르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창원시의회는 이날 주민투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방청석 입장을 막아 거센 반발을 샀다. 시의회 의결 직후, 시민단체인 민생민주창원회의와 마산회의는 “주민투표 없는 통합을 반드시 좌절시킬 것”이라며 “언론은 ‘통합 확정’이라는 용어를 아직 사용하지 말아 달라”고 요구했다. 민주노동당 정영주 시의원도 “안건을 심의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제안자 취지설명’을 빠뜨렸기 때문에 절차상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날 투표는 무효라고 주장했다.
창원/최상원, 김경욱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