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2004∼2008년 국내와 외국 연구기관, 대학, 기업연구소 등이 함께 참여하는 국제공동 연구ㆍ개발(R&D) 292건에 1천946억 원을 지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같은 지원 규모는 매년 늘어나 2004년 176억 원에서 지난해 783억 원으로 4년 만에 4.5배(연평균 45.2%)로 증가했지만, 지경부 전체 R&D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2.2%에 그쳤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간 수행된 국제 공동 R&D 사업에서 과제당 해외 특허출원은 평균 1.09건,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은 평균 0.48 건으로 지경부가 진행하는 R&D 사업의 전체 평균보다 각각 6.84배와 1.28배로 나타났다.
총 지원액의 55.5%가 소프트웨어,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132건) 분야에 집중됐고 연구 규모가 큰 전력ㆍ원자력(4건. 15.6%)이 뒤를 이었지만 로봇, 에너지ㆍ자원 등은 2% 내외로 낮았다.
공동연구 상대국가로는 지원액을 기준으로 미국(39%)이 가장 많았고 러시아(12.9%), 일본(11.9%), 중국(11.6%) 순이었다.
외국의 연구기관은 우리나라가 주도한 국제공동 R&D 제안을 받고 참여(63.4%)하거나 일부 기능만을 담당(16.4%)하는 위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술이 앞선 선진국에 우리나라가 공동 연구를 제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지경부는 밝혔다.
강훈상 기자 hs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