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및 수출·생산 개선…정보공유 및 실무협의 강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중수 신임 한국은행 총재는 5일 첫 회동을 갖고 향후 경제정책 수립 과정에서 긴밀한 공조를 다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은행회관에서 열린 김 총재와의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제상황과 거시 전망에 대해 광범위하게 생산적 논의를 했다"며 "앞으로 재정부와 중앙은행이 공조를 잘해서 경제가 잘 굴러가도록 완전히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김 총재는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 경험도 갖고 있다"며 "경제 성장, 거시 전망에 대해 많은 얘기를 들었고, 경제 협조 등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논의를 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재정부 차관의 금융통화위원회 열석발언권 문제에 대해 "열석발언권을 계속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총재는 "앞으로 국제시장이 급변해나갈 것이기 때문에 두 기관이 어떻게 협조해나갈 것인가에 대해 공감하는 자리였다"며 "많은 대화를 통해 좋은 정보를 나눴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구체적으로 경제정책 조화, 위기재발 방지를 위해 정보공유 및 실무협의를 긴밀히 하자고 합의했다고 배석한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 장병화 한은 부총재보가 전했다.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우리 경제가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도 내수 및 수출, 생산 등이 개선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서도 재정 등 정부의 경제정책과 통화정책 간의 조화, 경제위기 재발 방지 등을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정보 공유 및 실무협의를 긴밀히 해나가기로 했다.
두 사람은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으로서 새로운 국제금융질서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G20 논의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장병화 부총재보는 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거시경제 상황은 논의는 있었으나 금리나 출구전략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말했다. 또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외환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윤종원 국장은 양 기관간 정보공유 및 실무협의를 강화키로 한 것에 대해 "재정부, 한은, 금융위, 금감원, 예보까지 정보공유와 공동검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며 "전산적 문제 등으로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계속 협의해왔는데 실질적 효과를 내도록 정책공조나 실무회동까지 포함해 더욱 긴밀히 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윤 국장은 국회에 계류중인 한국은행법 개정안에 대한 협의가 진행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다"고 말했다. 류지복 홍정규 기자 jbryoo@yna.co.kr (서울=연합뉴스)
두 사람은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으로서 새로운 국제금융질서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G20 논의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장병화 부총재보는 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거시경제 상황은 논의는 있었으나 금리나 출구전략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말했다. 또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외환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윤종원 국장은 양 기관간 정보공유 및 실무협의를 강화키로 한 것에 대해 "재정부, 한은, 금융위, 금감원, 예보까지 정보공유와 공동검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며 "전산적 문제 등으로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계속 협의해왔는데 실질적 효과를 내도록 정책공조나 실무회동까지 포함해 더욱 긴밀히 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윤 국장은 국회에 계류중인 한국은행법 개정안에 대한 협의가 진행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다"고 말했다. 류지복 홍정규 기자 jbryoo@yna.co.kr (서울=연합뉴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