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을 통해 대선 출마 선언을 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일 오전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지사는 지지율만 놓고 보면 ‘여권 1위 대선 주자’ 타이틀을 몇달째 여유롭게 지키고 있다. 하지만 다른 후보들의 합종연횡을 어떻게 넘어서며, 당내 비주류로서 당심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일단 정세균 전 총리와 이광재 의원이 점화한 단일화가 어디까지 확산될지가 변수다. 이낙연 전 대표 등 다른 대선 주자들이 힘을 보태며 ‘반이재명 구도’를 확고하게 구축할 경우, 결선투표에서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오는 11일 후보를 6명으로 압축하는 1차 컷오프를 앞두고 이미 정 전 총리와 이 의원은 5일까지 단일화를 하기로 합의하고, 다른 주자들에게도 단일화의 문을 열어놓은 상태다. 두 사람은 ‘반이재명 전선’은 아니라고 손사래를 쳤지만, 단일화의 이유로 “도덕적 품격”, “민주당의 정통성”을 갖춘 후보를 만드는 일에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비주류’에 욕설 논란에 휩싸였던 이 지사를 겨냥하는 듯한 표현이었다. 이낙연 전 대표도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라면 어디서나 뜻을 함께 모을 수 있다. 저에게도 해당되는 문제”라며 단일화 논의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9월5일 본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같은 달 10일 결선투표를 통해 최종 후보를 선정하기로 한 만큼 물밑 단일화 논의는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 전 총리가 지난 30일 “1차 경선 끝나면 다시 서로 힘을 합칠 수 있고, (단일화) 길이 많이 열려 있다. 경선 드라마가 그래서 가능하다”고 말한 것도 이런 취지다. 이재명 지사 쪽은 이에 대해 “단일화를 할 경우, 나머지 후보들의 표가 모두 한쪽으로만 쏠리지 않고, 우리 쪽과 표가 나눠질 수밖에 없다”며 “오히려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한다.
그러나 본경선에서 압도적 1위를 기록하며 확고한 본선 경쟁력을 보여주지 않으면, 반이재명 정서가 커질 수 있다. 특히 강성 친문 성향 당원들의 정서적 거부감을 해결해야 한다. 이 때문인지, 1일 민주당 대선주자 9명이 한자리에 모인 ‘국민면접’에서도 이 지사 쪽은 다른 후보들과 달리, 청와대 인사 등 민감한 현안들에 대해 평소 이 지사답지 않게 뚜렷한 입장 표명 없이 언급을 자제했다. 앞으로도 이 지사 쪽은 불편한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다른 후보들에 대해서도 몸을 바짝 낮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 쪽은 “경선 과정에서 ‘반이재명 연대’ 논란에 참전하지 않고, 최대한 상대 후보를 자극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