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예비경선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이재명 후보에 대한 다른 주자들의 공세가 거세지는 만큼 추미애 후보의 ‘이재명 엄호’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추미애 두 후보의 이름을 따 ‘명추 연대’, ‘재미 연대’라는 얘기가 나오고, 두 주자가 향후 실제 연대를 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제기된다.
추 후보 쪽은 이재명 후보와의 단일화 등 연대 가능성은 일축하면서 경선 이후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의도적인 이재명 돕기’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추 후보 쪽 관계자는 “1등 때리기 전략은 인정할 수 있지만 수위를 넘는 공격은 안 된다는 게 추 후보 판단”이라고 전했다. 2017년 민주당 대표로 대선을 직접 관리한 경험에 비춰볼 때, 예비경선부터 같은 당 주자들이 ‘선을 넘는’ 공방을 벌이면 본선까지 갈등이 이어지고, 결국 정권 재창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추 후보가 미리 ‘균형추’ 구실을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선과 대선 이후 자신의 역할까지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 추 후보는 3일, 5일 두차례 토론에서 모든 주자에게 “경선 승복”과 “원팀 지속”을 다짐받고, 이재명 후보 청문회처럼 흐르는 경선 토론 분위기를 진정시키는 모습을 여러차례 연출했다.
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 후보의 이재명 엄호는 이 후보와 정책적 유사성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추 후보가 주장하는 지대개혁과 이 후보가 내놓았던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제도는 두 사람의 공감대를 넓히는 ‘연결고리’다. 추 후보는 기본소득은 지대개혁의 하위개념이며, 양극화 해소를 위해 숙성시켜 논의할 만한 의제인데도, ‘이재명표’라는 꼬리표를 붙여 때리기에 나서는 건 옳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 추 후보는 5일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국토보유세도 함께 주장하셔서 (기본소득) 재원 대책에 대한 (우려를) 깔끔하게 털어버리시라”고 조언했다. 일각에선 지난해 ‘추-윤 갈등’ 국면, 특히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효력을 법원이 정지시키며 추 후보가 수세에 몰렸을 때 민주당 대표였던 이낙연 후보와 총리였던 정세균 후보가 자신을 적극 지원하지 않은 점 등을 볼 때 개혁성이 의심스럽다고 판단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추 후보 쪽 관계자도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는 순위·지지율과 관계없이 경쟁 대상이 아니다. 이분들은 결정적 시기마다 당을 개혁에서 후퇴시킨 사람들”이라며 “이 지사의 개혁과 추미애의 개혁을 경쟁시켜야 당이 흥행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