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정당개혁의 `트레이드마크'로 내세우고 있는 기간당원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김형주(金炯柱) 의원은 15일 MBC 라디오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기간당원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5.31 지방선거 이후 "기간당원제는 유럽식인데 우리나라 문화에선 돈 놓고 돈먹기식이 됐다"며 기간당원제의 폐단을 공개적으로 지적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기간당원제에 대한 애착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진 당내 개혁당파 출신들의 모임인 `참정연' 소속이다.
기간당원은 우리당에 매월 2천원 이상의 당비를 납부하고, 연 1회 이상 연수를 받는 당원에게 부여되는 자격으로, 일반당원과는 달리 당내 선거권과 피선거권, 당직 소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간당원제는 소수의 급진개혁파가 일반유권자의 표심과는 상관없이 당을 장악하는 수단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각종 선거 과정에서 당비 대납 등 부작용도 이어져 왔다. 기간당원이 같은 이념을 공유하는 자발적 당원이 아닌, 지역선거 공천을 따내려는 잠재적 후보들이 동원한 `사조직'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당은 지금껏 재.보선에서 패배할 때마다 기간당원제에 대한 손질을 시도했지만, 개혁파의 반대에 막혀 번번이 실패했다.
김근태(金槿泰) 의장도 취임 직후인 지난 11일 기자간담회에서 기간당원제 개정문제에 대해 "선후와 경중을 가려야 한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기간당원제에 대한 비판이 참정연 내부에서까지 제기됨에 따라 조만간 당내에서 기간당원제 개폐논의가 공론화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당내에서 기간당원제를 손질하자는 의견이 모아질 경우 개정작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에 출범할 비대위는 당헌.당규 개정권한을 포함해 당무 전반을 관장하는 막강한 권한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지도부는 기간당원제 개폐논의가 실용파와 개혁파의 전면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지 언급을 꺼려왔지만, 기간당원제는 반드시 개정돼야 한다"며 "기간당원제 개정론과 폐지론이 조만간 공론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근태(金槿泰) 의장도 취임 직후인 지난 11일 기자간담회에서 기간당원제 개정문제에 대해 "선후와 경중을 가려야 한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기간당원제에 대한 비판이 참정연 내부에서까지 제기됨에 따라 조만간 당내에서 기간당원제 개폐논의가 공론화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당내에서 기간당원제를 손질하자는 의견이 모아질 경우 개정작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에 출범할 비대위는 당헌.당규 개정권한을 포함해 당무 전반을 관장하는 막강한 권한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지도부는 기간당원제 개폐논의가 실용파와 개혁파의 전면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지 언급을 꺼려왔지만, 기간당원제는 반드시 개정돼야 한다"며 "기간당원제 개정론과 폐지론이 조만간 공론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