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을 둘러싸고 열린우리당 안에서 논란이 벌어진 지난 3일, 김근태 의장(왼쪽)과 김한길 원내대표가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지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정당 지지도 바닥에 재보선 인물도 ‘바닥’
당-청 갈등 등 손못댄 채 진땀만 ‘삐질’
당-청 갈등 등 손못댄 채 진땀만 ‘삐질’
지방선거 참패 이후 열린우리당이 김근태 의장 체제를 가동하며 재도약을 모색하고 있으나, 반전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김 의장은 지난달 9일 취임 직후부터 민생경제 회복론과 당·청 관계 재정립을 역설하며 활로 모색을 위해 몸부림쳤지만 당 안팎의 사정은 더욱 꼬이는 모습이다.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4일 “명색이 집권 여당인데”라며 한숨을 쉬었다. 4곳에서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지는 7·26 재보선 공천을 두고 한 얘기다. 선거가 당장 3주 앞으로 닥쳐왔는데도 김만수 전 청와대 대변인이 나서는 경기 부천소사만 후보가 확정됐다. 서울 송파갑과 성북을의 경우엔 공천 신청을 받은 지난 3일까지 단 한 명도 신청서를 내지 않았다.
한 공천심사위원은 “서울에 후보를 안 낼 수도 없고, 그렇다고 무슨 뾰족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정말 앞이 캄캄하다”고 어려움을 털어놨다.
국민적 신뢰도 바닥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정당 지지율 조사를 보면, 지방선거 전인 5월9일 20.6%를 기록한 당 지지율은 6월13일 15.1%로 떨어졌고, 6월27일에는 12.0%까지 하락했다. 여차하면 한자릿수 지지율을 맞닥뜨릴 상황이다. ‘독배’를 마시는 심경으로 당을 구하겠다고 나선 김근태 의장이 국민과의 간극을 좁히려 노력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꿈쩍도 않고 있다.
그나마 김 의장이 지난달 29일 청와대 회동에서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재산세 인하 등 양보를 얻어내며 새로운 당·청 관계를 정립하는 듯했지만 청와대의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으로 모양새를 구겼다. 여당 한쪽에서는 청와대의 ‘옹고집 개각’이라며 불만을 표출하고, 김 의장이 청와대 회동에 앞서 노무현 대통령을 만난 사실이 확인되면서 불똥이 김 의장에게도 튀었다. 사정은 이렇게 꼬였지만, 당장 난국을 돌파할 묘책은 보이지 않는다. 여당은 민생경제 회복을 역설하고 있지만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요구하는 한나라당에 발목이 잡혀 있다. 정부가 시급하다고 요청한 주요 민생·개혁 법안조차 처리하지 못했다. 6월 임시국회가 로스쿨법안 등 쟁점 법안을 처리하지 못한 채 끝나자, 노웅래 열린우리당 공보담당 부대표는 “속수무책이었다. 무력감도 들었다. 한나라당이 시혜를 베푼 학교급식법 개정안 등 5개 법안을 처리한 것에 현실적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고 자책할 정도였다. 김근태 의장 등 지도부는 “7~8월 정치 하한기에도 쉬지 않고 땀 흘려 일하며, 민생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정책 준비와 입법을 위한 민생탐방, 전문가 접촉을 게을리 하지 않겠다”며 재기를 다짐하고 있다. 하지만 당장 상당수 의원이 외유에 나선 상태라 재기의 동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김 의장 쪽 핵심 인사는 “우리는 143명의 의원들에게 여름휴가도 반납하고 민생현장으로 뛰어들라고 요구하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아예 패배주의적 진단을 내리는 열린우리당 의원들도 적지 않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열린우리당은 5·31 지방선거에서 사망선고를 받았다. 김근태 의장이 이끌지만 ‘강시정당’이라고들 한다”며 “지금 당장 당을 깨자고 할 명분이 없어 그냥 가는 것일 뿐, 연말이면 당을 깨자는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그나마 김 의장이 지난달 29일 청와대 회동에서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재산세 인하 등 양보를 얻어내며 새로운 당·청 관계를 정립하는 듯했지만 청와대의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으로 모양새를 구겼다. 여당 한쪽에서는 청와대의 ‘옹고집 개각’이라며 불만을 표출하고, 김 의장이 청와대 회동에 앞서 노무현 대통령을 만난 사실이 확인되면서 불똥이 김 의장에게도 튀었다. 사정은 이렇게 꼬였지만, 당장 난국을 돌파할 묘책은 보이지 않는다. 여당은 민생경제 회복을 역설하고 있지만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요구하는 한나라당에 발목이 잡혀 있다. 정부가 시급하다고 요청한 주요 민생·개혁 법안조차 처리하지 못했다. 6월 임시국회가 로스쿨법안 등 쟁점 법안을 처리하지 못한 채 끝나자, 노웅래 열린우리당 공보담당 부대표는 “속수무책이었다. 무력감도 들었다. 한나라당이 시혜를 베푼 학교급식법 개정안 등 5개 법안을 처리한 것에 현실적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고 자책할 정도였다. 김근태 의장 등 지도부는 “7~8월 정치 하한기에도 쉬지 않고 땀 흘려 일하며, 민생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정책 준비와 입법을 위한 민생탐방, 전문가 접촉을 게을리 하지 않겠다”며 재기를 다짐하고 있다. 하지만 당장 상당수 의원이 외유에 나선 상태라 재기의 동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김 의장 쪽 핵심 인사는 “우리는 143명의 의원들에게 여름휴가도 반납하고 민생현장으로 뛰어들라고 요구하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아예 패배주의적 진단을 내리는 열린우리당 의원들도 적지 않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열린우리당은 5·31 지방선거에서 사망선고를 받았다. 김근태 의장이 이끌지만 ‘강시정당’이라고들 한다”며 “지금 당장 당을 깨자고 할 명분이 없어 그냥 가는 것일 뿐, 연말이면 당을 깨자는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