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스스로 포기해 문호개방”
“정체성 약화·당원 권리박탈 우려”
“정체성 약화·당원 권리박탈 우려”
9일 열린우리당 안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놓고 다양한 토론이 전개됐다. 백원우 전자정당위원장이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토론회 자리에서다.
이날 토론회에선 “열린우리당이 대선후보와 관련한 모든 기득권을 스스로 포기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호 개방, 100% 국민 참여’를 통해 ‘제2의 도약’을 꾀하자는 얘기다.
발제에 나선 윤호중 의원은 “거듭된 재·보궐 선거와 지방선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정치 발전을 추동해 온 세력으로서 무책임한 일”이라며,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주장했다. 윤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채택할 경우,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는 ‘자기 희생’을 통해 국민참여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대의명분을 얻고, 그 결과로 ‘집권’이라는 현실적 이익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완전국민경선제 도입과 함께, 시민·이익 단체와의 ‘정책협약 운동’이라는 전술도 제안됐다.
민병두 의원은 “현재 우리 당은 정당 기능과 구조의 불안정으로, 정당이라는 틀을 갖고 대선을 치르는데 한계가 있다”며 “부문별 대중조직인 시민·이익 단체와 정책과 지지를 주고 받는 ‘스몰 딜’ 방식의 국민참여형 정강·정책 수립 운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논란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기홍·김형주·김태년 의원 등 ‘기간당원제 유지’ 주장을 고수하고 있는 참여정치실천연대 소속 의원들은 이날 토론회에서 △정당의 정체성 약화 △당원의 권리 박탈 등을 이유로 신중론을 폈다.
반면, 김한길 원내대표는 “국민참여 확대가 절대선으로 얘기되고 있는데, 그것이 기간당원제라는 틀로 고착됐을 때 새로운 벽을 만들었다”며 “그 벽을 스스로 허물고 우리 당이 가지고 있는 기득권을 떨쳐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윤호중 의원은 “당내 민주주의가 당원들의 배타주의로 흘러선 안되며, 완전국민경선은 공직후보에 한하기 때문에 당원의 권리를 뺏는 게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