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김근태 최고위원(왼쪽)과 염동연 사무총장이 12일 국회 당의장실에서 열린 비공개 회동에 앞서 이해찬 총리 골프 파문 등 정치현안에 대해 심각한 표정으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열린우리당내 통합신당론자들이 노무현 대통령에게 북한 핵실험 등의 위기 상황임을 감안해 안보·경제를 비롯한 국정현안에 집중하고 정계개편 논의 등 정치현안에는 손을 떼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예상된다.
이 같은 주장은 노 대통령이 최근 이해찬 전 총리를 비롯한 중량급 여권인사들로 정무특보단을 구성하고, 측근인 안희정씨와 여택수 전 청와대 행정관 등이 노사모의 재결집을 추진하는 등 세 결집 움직임이 감지된 직후에 나온 것이어서 정계개편 문제를 둘러싼 당.청 갈등이 표면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는 3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북한 핵실험 이후 비상한 상황을 대비하고 극복하기 위해 안보·경제 위기 관리체제로서의 내각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대통령께서는 널리 인재를 구해서 드림팀을 짜고 남은 임기 동안 여기에 집중해서 총력을 기울이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비록 김 원내대표는 노 대통령에게 안보.경제에 집중해줄 것을 요청하는 선에서 발언을 그쳤지만, 입밖에 꺼내지 않은 그 다음 문장은 `정계개편 등 정치현안에는 손을 떼달라'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이라고 여당 원내관계자는 풀이했다.
정무특보단 구성뿐만 아니라 최근 민주당을 포함한 통합신당 창당에 대해 `지역주의 회귀가 아니냐'는 노 대통령의 부정적인 언급들이 측근인사와 당내 친노그룹의 전언 형식으로 흘러나오는 상황에서 김 원내대표가 청와대의 정치 개입 가능성을 적극 차단하는 데 총대를 멘 셈이다.
김 원내대표는 내달 7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여당과 참여정부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언급하면서 정계개편 논의는 여당이 주도하고 참여정부는 남은 임기 동안 경제와 안보, 민생 현안에 집중해 줄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정대철 상임고문도 지난 30일 KBS 라디오에 출연, "(정계개편 논의는) 노 대통령 임기 후에 일어나는 상황을 대비하고 노력하는 것이고 노 대통령이 주역이 아니기 때문에 노 대통령은 토론에 기본의제가 되지 않는다"며 노 대통령과 측근그룹은 정계개편 논의에 개입해선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천정배 전 법무장관은 `노무현 배제 신당론'에 대해서는 "함께 가는 게 좋다. 누구를 배제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면서도 신당 논의에 대해서 만큼은 "우리 장래에 관한 것인 만큼, 대통령 퇴임 후에도 정치를 하게 될 사람들이 주도해야 한다"며 여당 주도론을 폈다.
여당내 통합신당론자들이 그동안 정계개편 논의에 있어서 최우선 과제로 꼽혔던 노 대통령과의 관계 문제에 대해 `여당 주도'의 목소리를 높임에 따라 리모델링을 주장하는 당내 친노그룹과의 대립각은 더욱 날카로워지게 됐다. 이와 관련, 대통령 측근인 염동연 의원은 한 일간지에 자신과 노 대통령이 나눈 대화 내용이 소개된 것과 관련,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지난 8월초 노 대통령을 만나 통합에 관한 대화를 한 것은 사실이나 구체적인 발언 내용 등은 사실관계가 많이 다르다"고 밝혔다. 염 의원은 이어 "대통령은 지역주의 회귀로 비쳐질 수 있는 소통합 논의는 반대한다고 말했고, 내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미래세력이 결합하는 `대통합운동'을 하겠다고 하자 대통령도 저의 뜻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말했다"면서 "일부에서 리모델링을 얘기하지만 기득권 고수에 불과하고 실현 가능하지도 않다"며 당내 일각의 리모델링 주장을 일축했다. 염 의원은 그러나 여당과 대통령의 관계 설정에 대해 "대통령이 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정계개편에 대한 개인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당신 의도대로 정계개편이나 통합의 물꼬를 끌고 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당내의 노 대통령과의 결별론에 대해서는 "인간적으로 맞지 않고 전략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맹찬형 정윤섭 기자(서울=연합뉴스)
여당내 통합신당론자들이 그동안 정계개편 논의에 있어서 최우선 과제로 꼽혔던 노 대통령과의 관계 문제에 대해 `여당 주도'의 목소리를 높임에 따라 리모델링을 주장하는 당내 친노그룹과의 대립각은 더욱 날카로워지게 됐다. 이와 관련, 대통령 측근인 염동연 의원은 한 일간지에 자신과 노 대통령이 나눈 대화 내용이 소개된 것과 관련,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지난 8월초 노 대통령을 만나 통합에 관한 대화를 한 것은 사실이나 구체적인 발언 내용 등은 사실관계가 많이 다르다"고 밝혔다. 염 의원은 이어 "대통령은 지역주의 회귀로 비쳐질 수 있는 소통합 논의는 반대한다고 말했고, 내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미래세력이 결합하는 `대통합운동'을 하겠다고 하자 대통령도 저의 뜻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말했다"면서 "일부에서 리모델링을 얘기하지만 기득권 고수에 불과하고 실현 가능하지도 않다"며 당내 일각의 리모델링 주장을 일축했다. 염 의원은 그러나 여당과 대통령의 관계 설정에 대해 "대통령이 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정계개편에 대한 개인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당신 의도대로 정계개편이나 통합의 물꼬를 끌고 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당내의 노 대통령과의 결별론에 대해서는 "인간적으로 맞지 않고 전략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맹찬형 정윤섭 기자(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