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개혁 정체성 살린 ‘정책 정풍운동’ 표방
이라크 철군·부동산·출총제 등 ‘제색깔내기’
이라크 철군·부동산·출총제 등 ‘제색깔내기’
열린우리당 초·재선 소장파 의원들이 ‘정책 정풍운동’에 나섰다. 부동산 문제나 출자총액제한제 등 정책 현안을 중심으로 ‘당의 목소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1년 가까이 ‘당론 부재’ 상태를 지속해 온 당 지도부에 대한 불만도 깔려 있다.
첫째 목표는 임종석 의원 등이 주도한 이라크 철군계획서 촉구안을 이번주 의원총회에서 당론으로 채택하는 것이다. 우상호 의원은 20일 “다음 문제는 부동산 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 정풍운동’은 뚜렷한 이념 노선을 표방하거나, 의원들이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단계는 아니다. 정책 현안마다 다수의 의원들이 계파를 초월해 ‘헤쳐 모이는’ 방식으로 물밑 조율을 벌이고 있다. ‘천(정배)·신(기남)·정(동영)’이 전면에 나서 권노갑 고문의 퇴진을 촉구한 지난 2001년 민주당의 ‘정치 정풍운동’과는 다르다.
민병두 의원은 “국민들은 단순히 반한나라당 세력을 모으자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도 않고 감동하지도 않는다”며 “우리 당이 민생개혁 정책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고 조금이라도 성과를 이뤄내는 것에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21일에는 박영선·오영식·이목희·이인영·최재천·최재성 등 초·재선 의원 20여명이 모임을 열고, 정책의총의 활성화를 촉구할 예정이다. 대선주자로 꼽히는 천정배 의원도 참여했다. 이들은 출자총액제한제도 존폐 논란을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초선 의원은 “보수 성향 의원들로 구성된 당 정책위원회가 출총제 폐지가 당론인 것처럼 몰아가고 있지만, 아직 당론이 정해지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당내 이념 갈등으로 비치면 좋을 게 없다”는 우려도 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들이 열린우리당 고유의 ‘색깔’을 내려 한다는 점에서 정계개편의 주요 고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