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진로 세가지 시나리오
①대통령 탈당 뒤 신당창당…대선후보 국민경선
②탈당 거부, 출당요구…여권 대혼란 빠질 수도
③신당파 집단탈당…정치자금 등 걸림돌 가능성 낮아
②탈당 거부, 출당요구…여권 대혼란 빠질 수도
③신당파 집단탈당…정치자금 등 걸림돌 가능성 낮아
노무현 대통령이 출국한 3일 열린우리당은 침묵했다.
추운 날씨 탓인지 집에 있는 의원들이 많았다. 당청 갈등은 일단 ‘숨고르기’ 국면을 맞았다. 그렇지만 안에서 부글부글 끊다 더 크게 폭발할 수도 있다.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밤 긴급회의를 했다. 당의 진로에 대해 의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의원총회에 보고하기로 했다. ‘친노 직계’인 이화영 의원이 설문조사의 공정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지만, 조사 자체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 같다.
앞으로 열린우리당은 어디로 갈까?
열린우리당의 앞날은 노 대통령 탈당 여부, 그리고 전당대회를 어떻게 치르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되어 있다.
지난달 30일 노 대통령의 ‘당 사수’ 발언에도 불구하고, 열린우리당 의원 다수는 내년 적절한 시점에 노 대통령이 탈당을 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탈당을 신호탄으로 외부세력과의 통합 협상이 시작되고, 우여곡절을 거쳐 신당을 창당한 뒤, 내년 가을께 완전국민경선제로 후보를 선출할 것이라는 얘기다.
익명을 요구한 비대위원은 “한나라당과의 관계를 고려해도 탈당은 불가피하다”며 “내년으로 넘어가면 노 대통령에 대한 탈당 압력이 급속히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 대통령이 ‘탈당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길’ 상황이 온다는 설명이다.
이른바 ‘친노 직계’ 의원들도 노 대통령이 끝까지 탈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탈당’ 선택은 노 대통령 스스로 알아서 하도록 그냥 두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합신당파나 친노 직계 모두, “열린우리당이 생각보다 쉽게 깨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문제는 노 대통령이 ‘그래도’ 끝까지 탈당을 거부할 경우다. 이렇게 되면 당 내부 논쟁이 격화하다가 의원들이 노 대통령을 ‘해당 행위자’로 몰아 출당시키는 사태까지 치달을 수도 있다. 소송 사태로 번지고, 여권은 대혼란에 빠지게 되는 시나리오다. 통합신당파가 집단 탈당한다는 관측도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다. ‘정치자금’과 ‘비례대표’의 문제를 넘어서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에게 집단 탈당은 그야말로 ‘최악의 시나리오’다. 전당대회도 당내 논쟁의 주요 쟁점인데, 현재로서는 ‘불가피론’이 다수다. 본래 2월에 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3월 말까지 가능하다는 당내 유권해석이 내려졌다. 전당대회를 하면 격돌이 벌어질 수 있다. 노 대통령과 가까운 의원들은 오는 8일 당사 앞에서 ‘전국당원대회’를 열고 당내 통합신당론을 규탄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작 전당대회가 열리면 충돌하지 않을 수도 있다. 노 대통령과 당 지도부가 정치력을 발휘해 ‘당 의장’ 후보를 합의 추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치는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다. 친노 직계 의원들은 정세균 산자부 장관을 당 의장으로 밀겠다는 의사를 밝힌 적이 있는데, 정 장관에 대한 의원들의 평가는 꽤 좋은 편이다. 현재 여권이 맞고 있는 위기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내년 대선까지는 시간이 1년 이상 남아 있다. 열린우리당은 창당 과정에서 ‘난닝구’(민주당 사수파) ‘빽바지’(신당 창당파) 논쟁을 벌였던 악몽이 있다. ‘머리’와 ‘가슴’이 분열하면 공멸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노 대통령도 현실주의자의 면모를 갖고 있다. 정치에서 타협은 언제나 가능하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문제는 노 대통령이 ‘그래도’ 끝까지 탈당을 거부할 경우다. 이렇게 되면 당 내부 논쟁이 격화하다가 의원들이 노 대통령을 ‘해당 행위자’로 몰아 출당시키는 사태까지 치달을 수도 있다. 소송 사태로 번지고, 여권은 대혼란에 빠지게 되는 시나리오다. 통합신당파가 집단 탈당한다는 관측도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다. ‘정치자금’과 ‘비례대표’의 문제를 넘어서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에게 집단 탈당은 그야말로 ‘최악의 시나리오’다. 전당대회도 당내 논쟁의 주요 쟁점인데, 현재로서는 ‘불가피론’이 다수다. 본래 2월에 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3월 말까지 가능하다는 당내 유권해석이 내려졌다. 전당대회를 하면 격돌이 벌어질 수 있다. 노 대통령과 가까운 의원들은 오는 8일 당사 앞에서 ‘전국당원대회’를 열고 당내 통합신당론을 규탄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작 전당대회가 열리면 충돌하지 않을 수도 있다. 노 대통령과 당 지도부가 정치력을 발휘해 ‘당 의장’ 후보를 합의 추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치는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다. 친노 직계 의원들은 정세균 산자부 장관을 당 의장으로 밀겠다는 의사를 밝힌 적이 있는데, 정 장관에 대한 의원들의 평가는 꽤 좋은 편이다. 현재 여권이 맞고 있는 위기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내년 대선까지는 시간이 1년 이상 남아 있다. 열린우리당은 창당 과정에서 ‘난닝구’(민주당 사수파) ‘빽바지’(신당 창당파) 논쟁을 벌였던 악몽이 있다. ‘머리’와 ‘가슴’이 분열하면 공멸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노 대통령도 현실주의자의 면모를 갖고 있다. 정치에서 타협은 언제나 가능하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