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1일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간담회에 대해 “새로울 것도, 대꾸할 것도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노 대통령 임기내 개헌 추진에 반대 뜻을 거듭 확인했다. 주요 대선 주자들도 마찬가지다. 강재섭 당 대표는 노 대통령의 기자간담회 내용을 외부에서 전해듣고 “대꾸할 가치가 없다”고만 말했다고 나경원 대변인이 전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얘기하고 싶지도 않고, 저런 데 말려들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논평에서 노 대통령이 ‘개헌 논의 거부는 민주주의 거부’라며 한나라당을 비판한 데 대해, “반대 여론을 거스르며 개헌을 밀어붙이는 것이야 말로 반민주적 독재적 발상”이라고 반박했다. 나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정략이 아니라 지금만이 개헌의 적기’라고 말하면서 ‘코흘리개 골목대장’과 같은 노무현식 논리를 폈지만, 듣는 국민들은 답답하고 짜증난다”고 비난했다. 주호영 공보부대표는 “침묵, 거부도 정치의 한 형태이고, 한나라당의 생각을 드러낸 것”이라며 “(대통령의 한나라당 비난은) 본인은 아무런 잘못이 없고, 상대방만 잘못했다는 왜곡된 의식구조의 전형”이라고 맞받았다.
대선 주자들도 특별한 반응이나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은 “경제 살리기에 온힘을 쏟아야 될 이 중대한 시기에 또다시 개헌 논의로 소중한 시간을 허비할 수 없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박근혜 전 대표는 “임기 1년을 남겨두고 정권 말에 이런 개헌을 얘기하는 것이 맞느냐? 이것은 질책 받아 마땅하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노 대통령이 ‘개헌을 전제로 탈당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한 데 대해서도 “그것은 ‘기브 앤 테이크’(주고 받기)의 문제가 아니다. 탈당은 대통령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일축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쪽도 “지금은 일자리 하나 더 만드는 일에 집중할 때”라고 개헌 반대 뜻을 재확인했다.
한나라당과 대선 주자들은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국민 여론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보면서, 당분간 ‘무시 전략’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명박 전 시장 진영의 조해진 공보특보는 “대통령이 계속 밀어붙이면 국민들이 대통령에게 짜증을 내지, 이를 거부하는 야당을 비난하겠냐”고 말했다.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