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 시기’ 전대 이전·개헌 발의 시점 저울질
노무현 대통령이 탈당파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6일 낮 열린우리당 개헌특위 위원들과의 오찬간담회 자리에서였다. 노 대통령은 “과거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이 정치할 때는 60년대 말부터 국민들에게 강한 명분이 각인된데다, 지역에서 강력한 열망이 있어서 당을 가르고도 또는 탈당해서도 각기 대통령이 됐으나 그 이후로는 당을 쪼개서 성공한 사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정주영씨의 국민당도 창당 때는 돌풍을 일으켰으나 막판에는 천막 치고 나갔다”고 덧붙였다. 통합신당을 내걸고 당을 나간 탈당파들이 정치적으로 살아날 수 없으리란 비판이다.
노 대통령은 “대통령인 내가 지지를 잃어서 당을 지켜내지 못해 면목이 없다”며 “다시 말하지만 당에 걸림돌이 되면 당적을 정리한다. 이미 이것은 여러 차례 언급했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의 탈당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자신이 탈당해서라도 지금의 열린우리당을 지켜내는 게 더 중요하다는 뜻으로 읽힌다.
관심은 노 대통령의 탈당 시기다. 실제로 청와대 안에서는 이미 대통령의 당적 이탈 시기를 선택하기 위한 논의가 깊숙이 진행됐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최근 며칠 동안 탈당 시기를 놓고 논쟁이 있었다. 열린우리당 상황에 연연하지 말고 즉각 탈당하자는 의견과, 개헌안 발의와 여당의 내분 상황 등을 봐가며 탈당 시기를 선택하자는 견해가 대립했다”고 말했다. 탈당은 기정사실이며, 시기와 방법을 놓고 ‘즉각 탈당론’과 ‘전략적 탈당론’이 맞서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현재 노 대통령은 두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2월14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가 원만하게 진행돼 여당이 단합하는 계기가 되도록 그 이전에 탈당하는 방안이다. 노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하는 한 핵심 참모는 “당에서 아직 공식적이고 집단적인 (탈당 요구) 의사 표시가 없다. 당에서 전당대회 이전이든 이후든 당론으로 요구하면 탈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무리 늦어도 3월 초로 예정된 개헌안 발의 시점에는 탈당을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또다른 핵심 관계자는 “탈당에 대해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참모들도 무작정 탈당을 늦추자는 게 아니라, 개헌안 발의 때까지만이라도 기다리자고 말한다”며 “늦어도 그때를 넘기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탈당의 주된 목적은 열린우리당 사정이라기보다는 개헌안 발의의 진정성을 내보이는 데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