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통합신당모임' 등 구(舊)여권은 28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공식 탈당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우리당은 일주일 전부터 예고됐던 노 대통령의 탈당계 제출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면서, 적극 평가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당 서혜석(徐惠錫)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당리당략적인 정치현실 때문에 대통령이 임기말에 탈당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며 "노 대통령이 당적을 정리하더라도 우리당의 가치인 민생과 국민통합을 이뤄내는데 전념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 대변인은 이어 "대통령의 당적정리를 계기로 우리당은 명실상부한 새출발을 하게됐다"며 "우리당의 홀로서기를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최재성(崔宰誠)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당원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우리당의 성공을 기원한데 대해 "우리당이 추진하고 있는 대통합작업의 성공을 기원한 것 같다"며 "우리당은 전당대회에서 결의된대로 차질없이 대통합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문병호(文炳浩) 의장 비서실장은 "우리당은 지금부터 법률상으로 여당이 아니지만, 참여정부에 대해 무한책임 느끼고 있다"며 "정부정책에 대해선 최대한 뒷받침하는 한편 정치는 독립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노(親盧)파로 분류되는 김형주(金炯柱) 의원은 "노 대통령이 탈당했지만, 정신적으로는 당과 함께 있다고 생각한다"며 "노 대통령의 탈당으로 여권의 정계개편 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우리당 탈당파들은 노 대통령의 완전한 정치불개입이 실천되지 않는 한 당적정리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통합신당모임' 양형일(梁亨一) 대변인은 "정권말기마다 되풀이되는 탈당은 한국정치의 불행한 현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며 "노 대통령이 앞으로 중립적 위치에서 국정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정치인 장관을 교체하는 한편 향후 정치에 개입하지 않아야 비로소 탈당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생정치모임' 소속인 정성호(鄭成湖) 의원도 "노 대통령은 당적정리를 계기로 초당적인 국정운영을 해야 한다"며 "당적을 정리한 마당에 정치활동을 하면 선거에 대한 개입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통합신당모임' 양형일(梁亨一) 대변인은 "정권말기마다 되풀이되는 탈당은 한국정치의 불행한 현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며 "노 대통령이 앞으로 중립적 위치에서 국정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정치인 장관을 교체하는 한편 향후 정치에 개입하지 않아야 비로소 탈당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생정치모임' 소속인 정성호(鄭成湖) 의원도 "노 대통령은 당적정리를 계기로 초당적인 국정운영을 해야 한다"며 "당적을 정리한 마당에 정치활동을 하면 선거에 대한 개입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일환 기자 koma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