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호세력 확대 위해 통합신당 “시민사회 참여” - 민주당 “철저 검증” 경계
통합신당모임과 민주당의 ‘소통합’ 협상이 초반부터 삐걱대고 있다. ‘5월 초 창당’에 전격 합의하며 기세 좋게 출발한 양쪽이 신당의 정체성과 창당 방식 등을 놓고 ‘동상이몽’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큰 이견은 신당 참여세력의 범위다. 통합모임 쪽은 ‘도로 민주당’을 피하기 위해 시민사회 세력과 민생정치모임 등이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민주당은 이들의 ‘색깔’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유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겉으론 똑같이 ‘중도정당’을 외치고 있지만, 보수 쪽에 가까운 민주당과 개혁 이미지를 내세우겠다는 통합모임의 노선 차이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지분 확보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민주당의 경계 심리도 작용하는 것 같다.
통합신당모임의 강봉균 의원은 지난 주말 박상천 민주당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지금은 자유당 때의 민주당이 아니다. 인간의 조상이 아프리카 원인이지만, 그렇다고 흑인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중심론’을 고집하지 말라는 얘기인 셈이다. 이에 대해 유종필 민주당 대변인은 “시민사회나 전문가 집단의 면면이 불분명해 내용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우리도 ‘도로 민주당’을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통합신당모임과 민주당이 만든 통합 틀인 ‘중도개혁신당 추진협의회’(중추협)의 민주당 쪽 일부 인사들은, 호남 지역구가 겹친다는 이유로 다른 정파 의원의 통합교섭단체 참여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통합모임의 한 의원은 “원외 인사들이 많은 민주당의 경우 지도부의 운신 폭이 좁은 것 같다. 그러나 다른 세력들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가면, 창당 명분이나 세를 형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에선 김영환·김경재 전 의원 등이 박상천 대표의 통합 작업을 ‘도로 열린우리당’이라고 비판하는 등 내부 반발까지 나오고 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