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대선 주자들의 정책 분화 및 블럭화
범여권의 ‘5월 빅뱅’을 앞두고 대선 주자들의 정체성을 매개로 한 연대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다. 개혁연대 그룹은 진보·개혁적인 정책 정체성에 대한 동질성이 크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중도·실용적 노선을 같이하며 중도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친노 그룹은 정책 동질성보다는 노무현 대통령과의 인적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다. 개혁연대 그룹과 중도 그룹이 열린우리당 해체와 통합신당 창당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연대와 경쟁을 모색하는 흐름도 감지된다.
문-김-천 연대 시도=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은 △사회·경제적 개혁 △대북 포용정책의 유지 △졸속으로 추진된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 등 많은 정책적 현안에서 높은 수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김 전 의장이 이끌고 있는 민주평화연대와 천 전 장관이 주도하고 있는 민생정치모임은 사회·경제 부문에서 공공성을 강화해 부동산·교육·양극화 문제 등을 해결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고, 이러한 정책 공감대를 바탕으로 열린우리당의 틀을 뛰어넘는 신당 창당에 합의했다.
이들 그룹은 미래구상 등 시민·사회단체와도 통합의 방향을 협의하고 있으며, 시민사회 세력의 잠재적 대선 후보로 꼽히고 있는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과의 연대도 고려하고 있다. ‘사람 중심 공동체’를 주장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문 사장의 개혁적 이미지가 자신들의 정책 색깔과 비슷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동영-손학규 연대 움직임=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남북 문제의 경제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정 전 의장은 ‘평화경제론’을 통해, 남북간 경제협력으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면서 동시에 남한도 경제적으로 재도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손 전 지사의 ‘평화경영정책’도, 북한의 낙후된 경제 상황을 끌어올리면서 남한에도 이득이 되는 방향의 남북경제협력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남북 문제를 바라보는 비슷한 시각 뿐만 아니라, 한-미 자유무역협정에도 적극적인 찬성 의사를 내비치는 등 ‘중도 실용’적인 정책이란 측면에서 동질성을 갖고 있다. 정 전 의장은 언제든지 손 전 지사와 만나 대화할 수 있다는 자세를 보인다. 친노 주자들, 남북 문제에 주력=친노 성향의 대선 주자들은 최근 들어 남북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이해찬 전 총리가, 이달 초에는 김혁규 전 경남지사가 각각 평양을 다녀왔다. 한명숙 전 총리는 지난달 말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 조문사절로 러시아에 다녀왔다. 이들이 움직일 때에는 항상 김종률·김태년·김형주·이광재·이화영 등 친노 의원들이 수행하고 있다. 대북 문제가 이해찬·한명숙·김혁규 의원에게 적절하게 배분되고 친노 의원들이 나뉘어 지원하는 모습이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열린우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남북 문제가 잘 풀리면 범여권 통합 문제도 다 해결이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구상을 내놓았다. 남북 문제에 현실적인 주도권을 쥐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유효한 대선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이들은 남북 문제를 바라보는 비슷한 시각 뿐만 아니라, 한-미 자유무역협정에도 적극적인 찬성 의사를 내비치는 등 ‘중도 실용’적인 정책이란 측면에서 동질성을 갖고 있다. 정 전 의장은 언제든지 손 전 지사와 만나 대화할 수 있다는 자세를 보인다. 친노 주자들, 남북 문제에 주력=친노 성향의 대선 주자들은 최근 들어 남북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이해찬 전 총리가, 이달 초에는 김혁규 전 경남지사가 각각 평양을 다녀왔다. 한명숙 전 총리는 지난달 말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 조문사절로 러시아에 다녀왔다. 이들이 움직일 때에는 항상 김종률·김태년·김형주·이광재·이화영 등 친노 의원들이 수행하고 있다. 대북 문제가 이해찬·한명숙·김혁규 의원에게 적절하게 배분되고 친노 의원들이 나뉘어 지원하는 모습이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열린우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남북 문제가 잘 풀리면 범여권 통합 문제도 다 해결이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구상을 내놓았다. 남북 문제에 현실적인 주도권을 쥐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유효한 대선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