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시한 6월초까지 잔류
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 사이의 충돌은 그 수위와 강도에서 이미 임계치를 넘어섰다. 여론의 관심은 ‘빅뱅’이 언제 일어날 것인지, 대선 예비주자이기도 한 정·김 두 사람이 다음 행보를 어떻게 이어갈지로 옮겨가고 있다.
노 대통령과 정·김 두 전직 의장의 정치적 ‘결별’은 정해진 수순으로 보이지만, 당장은 아닌 것 같다. 정·김 전 의장 쪽이 모두 이른 탈당 가능성을 배제하면서 6월 초까지는 당에 남아 대통합에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청한 정 전 의장쪽 핵심 인사는 “정세균 당 의장이 대통합 성사 시점으로 제시한 5월18일~6월10일을 끝까지 지켜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의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저는 탈당이란 얘기를 한번도 해본 적 없다”며 이른 탈당 가능성을 배제했다. 그와 가까운 한 의원은 “지금은 나가느냐 남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대통합이냐 아니냐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에는 나름대로 (거취와 관련한) 결론을 낼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판단의 바탕에는 세 모으기가 쉽지 않다는 현실적 이유가 자리잡고 있다. 당 안에서는 정 전 의장을 곧바로 따라 나설 국회의원의 수가 ‘10명도 안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전 의장 쪽도 비슷하다. 시간이 필요한 이유다.
그 사이에 두 전직 의장은 통합론과 당 사수론 사이에 대치선을 분명히 하며 ‘결별’ 이후를 대비한 명분쌓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떠날 때 떠나더라도 마지막까지 통합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명분은 자신들의 몫으로 챙기겠다는 것이다. 정 전 의장쪽 핵심 인사는 “결국 지금의 대치 전선이 지속되면 (친노 직계인) 당 사수파가 지난 2·14 전당대회에서 위장 합의를 했었다는 사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