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규칙 합의여부’ 주장 엇갈려
이명박·박근혜 캠프는 ‘경선 규칙’과 관련해, 주장뿐 아니라 사실(팩트)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시각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는 3월18일 한나라당 경선준비위원회(경준위)가 ‘8월-20만명’으로 경선 시기와 경선 참여 인원을 정했을 때, “경선 규칙 합의가 끝났다”고 주장한다. 반면, 이 전 시장은 “(당시) 여론조사 반영비율 등을 더 논의하기로 했다”고 상반된 주장을 편다.
경준위 실무를 맡았던 한 당직자는 “‘8월-20만명’ 결정까지도 너무 힘들어, 여론조사 반영비율 같은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고, 합의안에도 명기하지 않았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러나 합의 다음날, 경준위 간사위원이었던 김성조 의원이 최고위원회에 합의안을 올리면서, 여론조사 반영비율 등에 ‘현행 유지’라는 문구를 삽입하면서 지금의 논란을 촉발했다. 이명박 전 시장과 가까운 이재오 최고위원 등이 즉각 “합의안과 다르다”고 반발해 격론이 벌어졌고, 이 문제는 최고위에서 매듭되지 못하고 당헌당규 개정위원회로 넘어갔다.
박 전 대표는 “(여론조사 비율에서) 이제까지 당연히 그렇게 해온 ‘상식’을 바꾸자고 주장하는 건 억지”라고 말한다. 이 전 시장 대리인으로 활동했던 박형준 의원은 “합의가 안 된 것을 합의했다고 하는 건 사실 왜곡”이라며 맞섰다.
박 전 대표의 “나는 세 번 양보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양쪽의 말이 다르다. ‘세 번 양보’란 △2005년 혁신위의 ‘대표 임기 단축’을 받아들인 점 △‘혁신안을 절대 수정할 수 없다’는 혁신위 주장에 수긍한 점 △기존 경선규칙 수정을 받아들여 지난 3월 ‘8월-20만명’ 안을 합의한 점을 말한다. 그러나 이 전 시장 캠프의 진수희 의원은 “당시 혁신위 안은 박 전 대표의 ‘결단’이 아니라 개혁을 바라는 민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