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통합신당 대표.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인터뷰] “민주당과 5월중 합치고 6월까지 대통합 이뤄야”
김한길 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는 20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탁 문제 등을 감안할 때 6월 안에 대통합이 이뤄져야한다며, “막연하게 통합을 얘기하고 아직 급할 것 없다고 말하는 분들이 구체적으로 뭘 따져봤는지 묻고 싶다”며 답답함을 드러냈다. 또 “노무현 대통령이 짜놓은 틀로는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탈노무현 노선’을 주장한 김 대표는 “민주당과의 통합이 대통합의 1단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제 김대중 대통령이 귀국하면서 통합 방식과 관련해, “좌우당간 국민이 원하는 걸 해야한다”고 했는데, 이 발언을 어떻게 받아들이나?
=제가 민주당과의 통합 원칙 가운데 하나로 밝힌 ‘국민 우선의 원칙’, 이것은 김대중 대통령의 말씀과 굉장히 유사하다. 특정 정치세력 중심의 통합은 흡수이고, 세불리기에 지나지 않는다. 통합을 요구하는 국민의 뜻을 중심으로 하고 거기에 중도개혁 세력들이 민주평화 세력이 모이는 게 통합이다.
-‘국민의 뜻’이라고 하는데, 그 실체가 무엇인가?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 우리를 지지했던 지지자들의 통합이 돼야한다는 거다. 통합이라는 것이 기성 정치권의 이합집산으로 끝나서는 안되고, 우리를 지지했던 국민들의 뜻을 한 바구니에 담는 지지자 통합이다. 그걸 위해서 정치권 통합이 필요한 것이다.
-민주당과 내일 통합 협상을 재개하는데, 어떻게 전망하나?
=지난번 박상천 대표를 만나서 “박 대표가 말하는 대통합이 12월 대선 승리를 위한 것이냐”고 집중적으로 물어봤다. 박 대표는 “정말 다른 생각이 없고, 대통합을 통해서 대선 승리를 이끌어내야한다는 강력한 의지가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통합 협상은 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민주당과 신설합당 방식의 통합이, 국민들의 뜻을 중심으로 해서 모이는 통합신당과 같은 건가?
=첫 단계라 생각한다. 통합을 하면, 대통합의 핵심(코어) 역할을 하게 되고, 열린우리당 떠난 분들이나 열린우리당 안에서도 대통합을 생각하는 많은 의원들이 결단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민주당에서 당 대표와 광주·전남 지역에서의 지분을 요구한다는데 수용할 용의 있나? =대표 문제는 그쪽에서 요구하지 않고 있고, 제가 알기로는 지분 얘기도 나온 적 없다. 민주당 지도부, 박상천 대표의 결심 여하에 따라 상당히 빠르게 결론 날 수 있다. 5월 중에는 결론이 나야한다. 정말 시간이 없다. -5월 말에 민주당과 신설합당을 성사시킨 뒤 그 다음 구상하고 있는 대통합 계획은 무엇인가? =역산을 해보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선관위에 위탁할 수 있는 시한이 선거일 90일 전인 8월26일이다. 그때까지 경선규칙, 비용, 이런 것들이 마무리 돼있어야한다. 시간이 없다. 현실적으로 대통합이 일시에 이뤄지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 민주당과의 1차적 통합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다. 정치권과 외부 세력, 제세력이 대통합 원칙에 합의하고 대통합신당으로 가자고 할 경우, 아무리 서둘러도 한 달 반 정도는 걸릴 거다. 8월26일의 한 달 반 전은 7월 초다. 상당히 빡빡하다. 8월26일 전에 완전국민경선을 위한 선거법도 개정해야한다. 현행 선거법 개정해서 주민등록증 내고 선거(완전국민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그런 절차 필요하고, 경선규칙 만드는 것도 선거법 개정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런 작업들이 안되고 있다. 통합 논의는 하나하나 매듭지어 가면서 이런 구체적인 준비들이 필요하다. 6월을 넘겨버리면 과연 한나라당과 싸울 수 있겠는가 하는 조급함이 있다.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관리를 선관위에 위탁해야하는 이유는 뭔가? =완전국민경선제를 자체 관리하면 40억~45억원이 드는데, 선관위에 위탁하면 비용을 20억,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공신력도 생긴다. 공공기관인 선관위가 관리하게 되면 투표기를 동사무소나 초등학교에 설치할 수도 있다. -민주당에서 말하는 중도개혁통합이라는 것은 ‘반한나라당 비노무현’인 것 같은데 이에 동의하나? =저는 ‘반한나라당’과 ‘탈노무현’에 동의한다. 사실 중도개혁 세력, 민주평화 세력이라는 용어가 모호한 점이 있다. 쉽게 말하면, 지난 두번 선거에서 우리를 지지해준 유권자들이다. -노 대통령을 지지하는 영남표를 30%라고 본다면 굉장히 큰 수치다. ‘탈노무현’을 주장해서 세력을 끌어모으는 게 가능할까? =노무현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얘기하는 게 아니라, 노 대통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틀을 극복하자는 거다. -노무현 대통령의 ‘틀’을 왜 극복해야하나? =국민들이 이제는 폐기를 명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최근에 국정운영 호감도가 30%를 넘었다고 하지만, 그 결정적인 이유는 한-미 에프티에이다. 그러나 그 30%가 우리에게 표를 던질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노 대통령의 공과가 있지만 국민들 보기에는 공은 당연한 것이고, 과에 대해서는 엄격하다. 실패한 부분에 대한 인정이라고 할까, 이런 데 인색했다는 반성이 있다. 저에게도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주장하는 틀에 다른 것을 덧붙여서 가면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김태규 기자 shy99@hani.co.kr
=첫 단계라 생각한다. 통합을 하면, 대통합의 핵심(코어) 역할을 하게 되고, 열린우리당 떠난 분들이나 열린우리당 안에서도 대통합을 생각하는 많은 의원들이 결단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민주당에서 당 대표와 광주·전남 지역에서의 지분을 요구한다는데 수용할 용의 있나? =대표 문제는 그쪽에서 요구하지 않고 있고, 제가 알기로는 지분 얘기도 나온 적 없다. 민주당 지도부, 박상천 대표의 결심 여하에 따라 상당히 빠르게 결론 날 수 있다. 5월 중에는 결론이 나야한다. 정말 시간이 없다. -5월 말에 민주당과 신설합당을 성사시킨 뒤 그 다음 구상하고 있는 대통합 계획은 무엇인가? =역산을 해보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선관위에 위탁할 수 있는 시한이 선거일 90일 전인 8월26일이다. 그때까지 경선규칙, 비용, 이런 것들이 마무리 돼있어야한다. 시간이 없다. 현실적으로 대통합이 일시에 이뤄지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 민주당과의 1차적 통합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다. 정치권과 외부 세력, 제세력이 대통합 원칙에 합의하고 대통합신당으로 가자고 할 경우, 아무리 서둘러도 한 달 반 정도는 걸릴 거다. 8월26일의 한 달 반 전은 7월 초다. 상당히 빡빡하다. 8월26일 전에 완전국민경선을 위한 선거법도 개정해야한다. 현행 선거법 개정해서 주민등록증 내고 선거(완전국민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그런 절차 필요하고, 경선규칙 만드는 것도 선거법 개정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런 작업들이 안되고 있다. 통합 논의는 하나하나 매듭지어 가면서 이런 구체적인 준비들이 필요하다. 6월을 넘겨버리면 과연 한나라당과 싸울 수 있겠는가 하는 조급함이 있다.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관리를 선관위에 위탁해야하는 이유는 뭔가? =완전국민경선제를 자체 관리하면 40억~45억원이 드는데, 선관위에 위탁하면 비용을 20억,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공신력도 생긴다. 공공기관인 선관위가 관리하게 되면 투표기를 동사무소나 초등학교에 설치할 수도 있다. -민주당에서 말하는 중도개혁통합이라는 것은 ‘반한나라당 비노무현’인 것 같은데 이에 동의하나? =저는 ‘반한나라당’과 ‘탈노무현’에 동의한다. 사실 중도개혁 세력, 민주평화 세력이라는 용어가 모호한 점이 있다. 쉽게 말하면, 지난 두번 선거에서 우리를 지지해준 유권자들이다. -노 대통령을 지지하는 영남표를 30%라고 본다면 굉장히 큰 수치다. ‘탈노무현’을 주장해서 세력을 끌어모으는 게 가능할까? =노무현 개인에 대한 호불호를 얘기하는 게 아니라, 노 대통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틀을 극복하자는 거다. -노무현 대통령의 ‘틀’을 왜 극복해야하나? =국민들이 이제는 폐기를 명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최근에 국정운영 호감도가 30%를 넘었다고 하지만, 그 결정적인 이유는 한-미 에프티에이다. 그러나 그 30%가 우리에게 표를 던질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노 대통령의 공과가 있지만 국민들 보기에는 공은 당연한 것이고, 과에 대해서는 엄격하다. 실패한 부분에 대한 인정이라고 할까, 이런 데 인색했다는 반성이 있다. 저에게도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주장하는 틀에 다른 것을 덧붙여서 가면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김태규 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