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현 대표, 김근태·천정배와 거리두기
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가 당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진보대연합’의 기준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주장하고 나섰다. ‘진보대연합’은 올해 대선에서 범진보진영을 민주노동당 중심으로 묶어세운다는 당 내부의 대선 전략 중 하나다.
문 대표는 22일 〈시비에스〉(CBS) 전북방송 라디오 ‘생방송 사람과 사람’에 출연해 “(진보대연합에 있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는 필요조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충분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자체가 대선판을 크게 구획하지는 않으며, 정당과 관계없이 자기 소신껏 (반대)하는 것”이라며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는 연대의 기본 바탕일 뿐, 그것만으로 대선 연대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특히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천정배 의원이 (열린우리당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때 비정규직법안이 통과됐다”며 “(두 사람이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역사적으로 잘못했다고 고백할 수 있으면 대선 연대까지도 갈 수 있지만, 협정 반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치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는 시민사회운동 일부 진영과 민주노동당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그는 “그 분들은 지난번 비정규직법안 개정 때 ‘경제 효율성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고 답해, 사실상 선을 그었다.
이날 발언은 진보대연합의 범위를 놓고 당 일각에서 김근태 전 의장과 천정배 의원, 미래구상 일부 등 특정 세력과의 연대 주장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원칙과 기준을 분명히 할 필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 핵심 당직자는 “진보대연합 논의가 여론의 관심을 전혀 못받는 상황에서, ‘인물’ 중심의 연대론은 민주노동당의 입지를 더욱 좁힐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탁 대변인도 “정계 개편 소용돌이 속에서도 민주노동당이 주목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고민을 얘기한 것 아니겠느냐”고 해석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