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왼쪽)이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59돌 국회 개원 기념행사에서 김한길 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가 들어서는 순간 시계를 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열린우리 의원 20명+시민사회세력+민주당일부”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은 31일 “6월10일께 열린우리당 바깥의 제3지대에서 신당 창당을 선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날 〈한겨레〉 기자와 만나 “신당 창당 선언에는 열린우리당 의원 20여명 안팎과 시민사회세력, 민주당 통합세력 일부가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2·14 전당대회에서 결의한 통합시한인 6월14일 이전에 일단 통합신당 추진체를 띄우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시민사회세력 함께 할까?= 이런 구상이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민사회세력의 참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첫번째 ‘넘어야 할 산’인 이들의 참여 여부가 불투명하다.
통합번영미래구상 등 정치세력화를 꾀하는 시민사회세력은 열린우리당 지도부의 제안에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들도 6월8~10일을 전후해 창당 선언을 하고 창당 준비위를 띄우겠다는 구상이지만, 창당 선언은 독자적으로 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정치인들의 참여는 창당 추진위 단계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미래구상 공동대표인 최열 환경재단 대표는 “독자적으로 해야지, 처음부터 어떻게 제도권 인사들과 같이 하겠느냐”고 말해, 열린우리당 지도부의 ‘제3지대 통합론’에 일단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시민사회세력의 창당 선언에는 최열 대표 이외에, 양길승 녹색병원장, 임진택 연극연출가 등 30~40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6월4일께는 정치권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들을 중심으로 국민운동체인 ‘국민회의(가칭)’를 출범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20명 선도 탈당 가능할까?= 시민사회세력이 ‘오케이’ 신호를 보내면,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적절한 시점에 몸을 옮겨야 한다. 정 의장은 “창당 선언 단계에서는 당적을 유지할 수도 있겠지만, 창당 준비위 발족 단계에서는 탈당해야 한다”며 “이후에도 나는 한동안 열린우리당에 남아 설거지(뒷처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부는 전당대회 결의로 추진되고 있는 ‘질서 있는 대통합’을 위해 당적을 버릴 의원들을 이미 상당수 확보했다고 주장한다. 주로 386세대 초·재선 의원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희상 전 의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회가 의결해 선도 탈당까지 하면서 대통합신당을 준비하라고 하면 나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 통합파 합류할까?=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민주당 통합파 의원들의 움직임과 원외위원장들의 대통합 촉구 서명운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민사회세력이 창당을 주도하는 ‘모양새’가 갖춰질 경우, 민주당 쪽 인사들도 몸을 움직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서명에는 이틀 동안 7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민주당 의원들이 탈당을 결행할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낙연 의원은 “의견 통일이 행동 통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