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대선주자들은 8일 대부분 남북정상회담 환영 성명을 냈다. 자신이 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음을 강조하며, 호재로 활용하려 애를 썼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지난 5월 평양을 방문했을 때 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와 한반도 평화선언을 공개적으로 촉구한 바 있다. 이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룩한 6·15 공동선언의 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자 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북미수교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회담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2005년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정일 위원장간 6·17 면담에서의 합의 정신이 구체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해찬 전 총리는 “이산가족과 전불자(전쟁시기와 그 이후 행방불명자) 문제 등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처가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그동안 남북간 대화와 소통, 남북간 상호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기여한 것에 대해 열린우리당 동북아 평화위원장으로서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명숙 전 총리는 “이번 회담을 시작으로 남북정상회담을 정례화, 제도화하여 ‘남북연합’을 통한 한반도 영구평화체제, 실질적인 통일시대가 개막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은 “북핵사태 속에서도 나를 비롯한 평화개혁세력이 조속한 남북정상회담의 개최와 대북포용정책을 일관되게 주장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혁규 의원은 “본 의원이 지난 5월 초 남북경제교류협력 추진을 위해 방북했듯이 열린우리당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번 정상회담의 초석이 되었다”고 말했다. 신기남 의원은 “나는 2·13 합의 이후 지속적으로 남북정상회담의 조기 개최를 역설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통합민주당의 조순형 의원은 “시기와 형식에 문제가 있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국제사회에서는 정상간 상호방문이 관례”라며 “임기가 6개월밖에 남지 않은 대통령이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정상회담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