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의 금융감독원·금융감독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린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 의원들이 비비케이(BBK) 주가조작사건과 관련한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실랑이를 벌이는 동안 일반 증인으로 나온 오갑수 전 금감원 부원장이 머리를 감싸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국회 정무위, 금감원 국감
‘이명박 후보 연루’ 여부 싸고 신당-한나라 날선 공방
“김경준 조사않고 결론” “다 끝난일 재탕 삼탕” 맞불 비비케이(BBK) 주가조작 사건에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후보가 연루됐는지 여부를 놓고 대통합민주신당(통합신당)과 한나라당이 26일에도 날선 공방을 벌였다. 통합신당은 금융감독원이 이명박 후보와 김경준씨를 직접 조사하지 않았던 점을 들어 전면적인 재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정치공세 중단을 요구하며 국정감사 중단을 검토하고 나섰다. 김효석 통합신당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은 금감원과 검찰에서 조사가 끝난 것이라고 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며 “관련 인물들에 대한 자금추적 등 원점에서 재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 정무위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도 통합신당 의원들은 ‘부실조사’ 문제를 집중적으로 물고 늘어졌다. 이계안 의원은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경준씨를 통하지 않고서는 이명박 후보와 연결고리가 없는데도 금감원이 김씨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론을 내렸다”며 “관련자들이 해외로 나간 김경준씨한테 (사건 책임을) 떠넘겼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채일병 의원은 “금감원이 2001년 5월15일 조사에 착수했는데 김경준은 12월에 출국했다”며 “금감원이 사실상 (김씨의 출국을) 방조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사건 당시 금융감독원장이던 이근영 전 원장은 “주가조작 사건이 많이 발생했고 사건이 누적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전 원장은 “(조사 과정에) 뭔가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채 의원의 질문에, “알 수 없는 사실”이라고 답했다. 김용덕 금감원장은 “당시는 코스닥이 무너진 시점이어서 400여건의 사건이 밀려 있었다고 한다”며 “김경준이 송환돼오면 검찰이 언제라도 필요한 자료를 요구할 것이고, 미진한 분분은 (재조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정무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증인채택 과정의 절차상 하자를 들어 이날 출석한 증인들을 상대로 질문을 하지 않았다. 김정훈 의원은 “이 후보가 관련이 없다는 것은 법무부장관과 금감원장이 국회에서 이미 분명하게 밝힌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진수희 의원도 “비비케이 논쟁과 공방은 시간과 국력의 낭비”라며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다 나왔던 얘기를 재탕, 삼탕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통합신당의 이명박 후보 공격과 관련해, “국정감사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통합신당의) ‘거짓말 국감’을 더이상 계속할 이유가 있는지 심사숙고하고 있다”며 “오는 29일 오전 9시 모든 상임위에서 국감을 일단 중단하고 의원총회를 열어서 토론을 거쳐 국감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임석규 조혜정 기자 sky@hani.co.kr
“김경준 조사않고 결론” “다 끝난일 재탕 삼탕” 맞불 비비케이(BBK) 주가조작 사건에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후보가 연루됐는지 여부를 놓고 대통합민주신당(통합신당)과 한나라당이 26일에도 날선 공방을 벌였다. 통합신당은 금융감독원이 이명박 후보와 김경준씨를 직접 조사하지 않았던 점을 들어 전면적인 재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정치공세 중단을 요구하며 국정감사 중단을 검토하고 나섰다. 김효석 통합신당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은 금감원과 검찰에서 조사가 끝난 것이라고 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며 “관련 인물들에 대한 자금추적 등 원점에서 재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 정무위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도 통합신당 의원들은 ‘부실조사’ 문제를 집중적으로 물고 늘어졌다. 이계안 의원은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경준씨를 통하지 않고서는 이명박 후보와 연결고리가 없는데도 금감원이 김씨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론을 내렸다”며 “관련자들이 해외로 나간 김경준씨한테 (사건 책임을) 떠넘겼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채일병 의원은 “금감원이 2001년 5월15일 조사에 착수했는데 김경준은 12월에 출국했다”며 “금감원이 사실상 (김씨의 출국을) 방조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사건 당시 금융감독원장이던 이근영 전 원장은 “주가조작 사건이 많이 발생했고 사건이 누적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전 원장은 “(조사 과정에) 뭔가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채 의원의 질문에, “알 수 없는 사실”이라고 답했다. 김용덕 금감원장은 “당시는 코스닥이 무너진 시점이어서 400여건의 사건이 밀려 있었다고 한다”며 “김경준이 송환돼오면 검찰이 언제라도 필요한 자료를 요구할 것이고, 미진한 분분은 (재조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정무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증인채택 과정의 절차상 하자를 들어 이날 출석한 증인들을 상대로 질문을 하지 않았다. 김정훈 의원은 “이 후보가 관련이 없다는 것은 법무부장관과 금감원장이 국회에서 이미 분명하게 밝힌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진수희 의원도 “비비케이 논쟁과 공방은 시간과 국력의 낭비”라며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다 나왔던 얘기를 재탕, 삼탕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통합신당의 이명박 후보 공격과 관련해, “국정감사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통합신당의) ‘거짓말 국감’을 더이상 계속할 이유가 있는지 심사숙고하고 있다”며 “오는 29일 오전 9시 모든 상임위에서 국감을 일단 중단하고 의원총회를 열어서 토론을 거쳐 국감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임석규 조혜정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