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총사퇴 대행체제로
민주노동당이 대선 패배 이후 당을 수습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실패했다. 민주노동당은 지난 29일 오후부터 30일 새벽까지 경기 성남시민회관에서 중앙위원회를 열었지만, 북한 문제를 둘러싼 정파 갈등과 비례대표 출마 포기 논쟁이 격화하면서 비대위 구성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당내 평등파(PD)와 자주파(NL)의 이념·노선 투쟁이 심화하면서, 평등파 일부에서 제기되던 분당론이 더욱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성현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비대위 구성을 제안한 뒤 총사퇴했으며, 대표 직무대행은 천영세 의원이 맡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당 지도부는, 비대위원장직을 제안받은 심상정 의원과 자주파 쪽의 의견을 수용·절충해 비례대표 후보 상위 순번에 각 정파 관계자들을 배제하는 대신 추천권을 비대위에 주는 중재안을 마련했다. 심 의원과 자주파 내부의 온건파는 중재안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토론 과정에서 김형탁 전 대변인 등 평등파 소속 중앙위원 40여명이 “당내 다수파인 자주파의 ‘종북주의’(북한을 따르는 노선)와 ‘패권주의’ 청산 문제를 비대위 임무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퇴장했다. 이에 자주파도 비례대표 공천 문제에서 일부 양보하겠다던 태도를 번복했고, 결국 중앙위는 비대위 구성에 실패한 채 향후 당의 일정에 대한 아무런 결론 없이 산회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