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천심사위 관심
위원장엔 안강민씨 거론…‘친이’ 인사들은 반대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에 대표적 ‘친이명박’ 인사인 이방호 사무총장이 참여할 것이 확실해지면서, 공심위 구성을 둘러싸고 ‘친이’-‘친박’ 세력의 격돌이 예상된다. 또한 공심위원장으로는 지난 경선 때 검증위원장을 지낸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으나, 당 지도부 사이에 이견이 있어 다른 인물이 최종 낙점을 받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0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방호 총장은 총선을 주무하는 책임자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공심위원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며 “당연직으로 공심위에 들어가는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이 ‘친박근혜’ 성향이기 때문에 이 총장이 들어가는 것이 균형에 맞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표 쪽은 “‘강성 친이’인 이방호 총장이 들어가게 되면, 우리 쪽 인사도 한 명 더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공심위 구성이 순조롭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진영의 핵심 인사인 유승민 의원은 “강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연직’으로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당 지도부의 뜻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총장에게 밀리지 않으려면 우리 쪽의 의견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이 한 명 더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머지 공심위원들과 관련해, 강 대표는 “‘지역’과 ‘중립’ 성향을 따져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위원장과 이 총장의 지역구는 각각 대전과 경남 사천이기 때문에 수도권, 대구·경북 등의 ‘중립’ 인사들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권영세 전 최고위원(서울 영등포을), 17대 때 공천위원을 지낸 홍준표 의원(서울 동대문을), 장윤석 의원(경북 영주) 등이 거론된다. 공심위원장으로는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강 대표는 지난 17일 안 전 지검장에게 공심위원장으로 ‘적임자’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안 전 지검장은 지난 17대 총선 때도 공심위에 참여한 경험이 있어 외부 인물이면서도 당내 ‘파워 게임’에 밝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당내 ‘검증’ 작업 때 이 당선인과 박 전 대표 양쪽으로부터 무난한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친이’ 인사들 사이에선 “검사 출신은 ‘법조인의 관점’으로만 판단할 수 있다”며 탐탁하지 않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공심위원장이 공천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중책인 만큼, 이 당선인과 직접 교감이 가능한 인물을 뽑고 싶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은 21일 열리는 총선기획단 3차 회의에서 이방호 총장이 만든 1차 인선안(공심위원 11명의 2배수)을 놓고 논의를 거친 뒤 후보 수를 압축할 예정이다. 공심위원은 이후 24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위원장엔 안강민씨 거론…‘친이’ 인사들은 반대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에 대표적 ‘친이명박’ 인사인 이방호 사무총장이 참여할 것이 확실해지면서, 공심위 구성을 둘러싸고 ‘친이’-‘친박’ 세력의 격돌이 예상된다. 또한 공심위원장으로는 지난 경선 때 검증위원장을 지낸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으나, 당 지도부 사이에 이견이 있어 다른 인물이 최종 낙점을 받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0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방호 총장은 총선을 주무하는 책임자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공심위원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며 “당연직으로 공심위에 들어가는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이 ‘친박근혜’ 성향이기 때문에 이 총장이 들어가는 것이 균형에 맞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표 쪽은 “‘강성 친이’인 이방호 총장이 들어가게 되면, 우리 쪽 인사도 한 명 더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공심위 구성이 순조롭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진영의 핵심 인사인 유승민 의원은 “강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연직’으로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당 지도부의 뜻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총장에게 밀리지 않으려면 우리 쪽의 의견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이 한 명 더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머지 공심위원들과 관련해, 강 대표는 “‘지역’과 ‘중립’ 성향을 따져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위원장과 이 총장의 지역구는 각각 대전과 경남 사천이기 때문에 수도권, 대구·경북 등의 ‘중립’ 인사들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권영세 전 최고위원(서울 영등포을), 17대 때 공천위원을 지낸 홍준표 의원(서울 동대문을), 장윤석 의원(경북 영주) 등이 거론된다. 공심위원장으로는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강 대표는 지난 17일 안 전 지검장에게 공심위원장으로 ‘적임자’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안 전 지검장은 지난 17대 총선 때도 공심위에 참여한 경험이 있어 외부 인물이면서도 당내 ‘파워 게임’에 밝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 당내 ‘검증’ 작업 때 이 당선인과 박 전 대표 양쪽으로부터 무난한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친이’ 인사들 사이에선 “검사 출신은 ‘법조인의 관점’으로만 판단할 수 있다”며 탐탁하지 않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공심위원장이 공천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중책인 만큼, 이 당선인과 직접 교감이 가능한 인물을 뽑고 싶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은 21일 열리는 총선기획단 3차 회의에서 이방호 총장이 만든 1차 인선안(공심위원 11명의 2배수)을 놓고 논의를 거친 뒤 후보 수를 압축할 예정이다. 공심위원은 이후 24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