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천 갈등 봉합 가능성…“당헌·당규 탄력 적용”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의 ‘부정부패 전력자’ 공천 불허 방침에 반발해 박근혜 전 대표 쪽의 김무성 최고위원이 30일 탈당할 뜻을 비치고 의원 35명이 공동행동을 결의했다. 그러나 이날 밤 이명박 당선인을 포함한 당 지도부가 문제의 당헌·당규 조항을 탄력 적용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져, 타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김무성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치를 시작한 뒤 한 번도 당적을 바꾼 적이 없는데 당에서 쫓아내니 이제 당적을 버릴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나경원 대변인이 전했다. 김 최고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토사구팽당하게 됐다. 이건 준비된 정치보복”이라고 공천심사위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쪽을 비난했다.
박 전 대표도 이날 본회의 참석에 앞서 “(당헌·당규) 적용 기준조차 모호하다. 입맛에 맞게 (공천 심사를) 하면 국민도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발언 뒤 유승민·이혜훈 등 박 전 대표 쪽 의원 35명은 “김무성 최고위원과 정치적 운명을 같이하겠다”며 공동 행동을 결의했다. 이들은 31일 낮 박 전 대표도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행동 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공천 갈등을 중재해 온 강재섭 대표는 공천심사위 결정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이날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와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 전 대표 쪽의 반발이 거세자 당 지도부는 이날 밤늦게까지 수습책을 논의했다. 특히 이 당선인은 이날 낮 측근인 이재오 의원과 1시간 동안 독대하고 이방호 총장 등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선인의 한 핵심 측근은 “당헌·당규는 해석의 문제”라며 “당 지도부 사이에 교감이 잘 이뤄져 갈등이 잘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당규를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안상수 원내대표도 “벌금형은 공천 신청을 받아줘야 한다”고 절충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31일 열리는 공천심사위(위원장 안강민)에서 공천 자격 원칙은 유지하되 그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식으로 갈등이 봉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