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김대중·노무현 정부 인적·제도적 청산론’을 둘러싼 정치권 논란이 격화하고 있다.
안상수 대표는 12일에도 “정권을 되찾아 왔지만, (한나라당이) 국회에서 과반이 안 되니까 저쪽(통합민주당)의 ‘백’을 믿고 고위직이나 공기업 사장들이 사의를 표명하지 않고 있다”며 “이제 새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분들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에 이어 임기가 보장된 공기업 기관장 등에 대한 사퇴압력을 전면화한 것이다.
통합민주당은 안 원내대표 발언을 ‘망언’으로 규정하고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김효석 원내대표는 이날 “집권하자마자 언론이나 문화계, 학계, 시민단체까지 통제하려는 것은 군사독재 정권의 발상”이라며 한나라당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서민과 중산층을 위해 만든 모든 법안이 좌파적 법안이라면 총선에서 이것으로 경쟁해 국민의 심판을 받아보자”며 “좌파적 법안 목록을 내놓으라”고 반박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한승수 국무총리, 이상희 국방장관, 유명환 외교장관, 김하중 통일장관, 이만의 환경장관, 김성호 국정원장, 임채진 검찰총장, 어청수 경찰총장 등이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서 국가의 녹을 먹고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복무했던 분들”이라며 “한나라당은 이분들부터 정리하면 될 것 같다”고 ‘좌파 청산론’을 비꼬았다.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 안에서는 ‘과거 정부 인사 청산론’이 4·9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을 다독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론이 동시에 터져나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가까운 한 수도권 의원은 “공천 후유증이 있지만, 야당 때와 달리 그들에게 줄 자리가 많다. 갈등은 치유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공기업에는 정치적 자리와 전문적인 자리가 있다. 전문적인 곳은 임기를 보장하되 정치적인 자리에 한해 용퇴를 당부했어야 했다”며 “안 대표의 처신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또다른 당직자는 “그렇게 노골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냐”며 “당이 너무 청와대와 코드 맞추기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승근 유신재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