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총선 이후 각당 앞길] 거대 여당 한나라
이 대통령 대주주…‘박근혜 관계’순항 변수
노-소장파 갈등도 ‘휴화산’으로 불씨 잠복
이 대통령 대주주…‘박근혜 관계’순항 변수
노-소장파 갈등도 ‘휴화산’으로 불씨 잠복

박근혜계는 공천에서 배제됐지만, 영남권의 탈당파 인사 상당수가 생환함으로써 ‘박근혜’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당내에서 당선 안정권으로 꼽았던 박근혜계 인사 20여명에, 탈당 뒤 금배지를 거머쥔 인사까지 합하면, 원내엔 박근혜계가 30명 가량 진입하게 된다. 물론 ‘한나라당 박근혜계’가 당내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려면, 박근혜계를 뺀 범이명박계 의석수가 과반수인 150석 미만이어야 한다. 가령 한반도대운하특별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박근혜계의 도움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수 이명박계만으로 과반을 이루더라도 박 전 대표 쪽을 일방적으로 홀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청와대가 ‘당정 분리’ 원칙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독주하려 할 경우 박 전 대표가 다시 ‘원칙’을 강조하며 비판의 날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 특히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어, 박근혜계가 비록 당내 소수파라해도 특유의 단결력을 보이며 다수의 이명박계와 끊임없이 주도권 다툼을 벌일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당 밖’의 박근혜계의 거취도 변수다. 선거운동기간 동안 친박연대 또는 무소속 당선자들은 한결같이 당선 뒤 한나라당 귀환을 주장해왔다. 강재섭 대표는 “탈당자들의 복당은 없다”고 못박았지만, 박 전 대표는 복당을 시켜줘야 한다는 뜻을 비춘 바 있다. 한나라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가 이뤄졌고 박근혜계의 당권 장악이 쉽지 않은 만큼, 박근혜계 쪽도 자파 의원들의 복당은 힘겨운 싸움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이명박계-박근혜계 사이의 힘겨루기 과정에서 이들의 복당 문제는 언제라도 당내 갈등을 점화시킬 뇌관으로 돌변할 수 있다. 이상득 부의장을 대표로 한 노장파와 이재오·정두언 의원을 따르는 소장파와의 갈등 또한 휴화산으로 남아 있다. 당내에선 당장은 이 문제가 표면으로 떠오르지 않겠지만 앞으로 정국이 요동칠 때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고 보고 있다. 만약 향후 재·보궐 선거 등에서 한나라당이 참패할 경우, 책임론 공방을 둘러싸고 노장-소장파의 대립이 재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복잡다단한 당내 권력구도를 둘러싼 갈등은 오는 7월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표출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실정·내각인선 파동에서 보듯이 총선 뒤 전당대회까지 2~3개월 동안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의 성과 여부도 당내 권력 지형에 변수가 될 수 있다. 대운하 등 주요 정책을 둘러싼 당내의 이견도 자칫 논란거리로 불거질 수 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