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한구(사진)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이한구(사진)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 2일 물가관리 방법을 놓고 이명박 대통령과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이 대통령이 주로 ‘관리’를 강조한 데 반해 이 의장은 ‘시스템 구축’을 들고나왔다.
이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물가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고, 대통령도 중산층·서민이 많이 쓰는 52개 품목에 집중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라고 누차 말했는데 아직 시스템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지 못하다”며 “가격 단속이 아니고, 생산비를 내리고 유통구조를 개선시키고 세금 혜택을 주는 등 구조적으로 물가가 관리되는 시스템을 만들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의 이런 지적은 이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52개 생필품 품목의 물가를 관리한다고 해 놓고 실제로는 제대로 안 되고 있다”며 질타한 것과는 다른 접근방법으로 읽힌다.
이 대통령의 관리가 1970년대식 ‘가격통제’ 방법에 가깝다면 이 의장의 말은 체계적인 물가관리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셈이다.
이 의장은 또 “물가관리 대책은 임기응변적으로 내놓으면 안되고,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며 “정부가 집중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쟁 촉진 분야’의 예로, 골프장 이용료·커피·맥주·화장품 등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달 중순 국내외 가격차를 조사해 밝히겠다고 한 6개 품목을 들며 “국내 가격이 외국보다 비싼 건 국내 경쟁 구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니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