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정부 질문’ 의원들 설전
8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통일·외교·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선,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와 국정 난맥상 등을 놓고 여야 의원들 사이에서 공방이 벌어졌다.
통합민주당의 이목희 의원은 “새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파탄으로 치닫고 있다”며 “근본적인 이유는 강압적인 태도로 남북관계를 재설정하려는 자세”라고 주장했다. 장영달 의원도 “이명박 정부는 무엇이 실용인지조차 알고 있지 못한다. 북한이 연일 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하는 것은 대결적·계산적 남북관계를 추진하려는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정청래 의원은 “기대했던 대로 ‘강부자 내각’을 뛰어넘은 ‘킹왕짱 강부자 청와대’였다. 인터넷에서 대통령 탄핵 서명을 하고 있는데 시작과 함께 레임덕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날을 세웠다. 이목희 의원도 “출범 두 달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정부는 총체적 난맥을 드러내고 있고, 지지도는 정권말기 수준으로 추락하고 있다”며 “위기 상황의 본질은 대통령과 청와대, 내각이 국민을 대하는 자세에 있다. 대통령은 크게 바뀌고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김정훈 의원은 “불순 좌파 세력의 준동이 이 정도로 집요할 줄은 몰랐다”며 “정부에 대한 근거 없는 음해성 공세에는 갓 시작한 정권을 조직적으로 흔들려는 불순한 의도마저 엿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 혼자 일하고 공무원들은 시키는 일이나 할 것 같다”며 공무원 조직을 효율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정권 의원은 “이번 정부는 한나라당이 10년을 절치부심해 창출한 정권”이라며 “참여정부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수권능력과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충환 의원은 “쌀값이 세 배나 폭등했고 다른 곡식의 가격도 엄청나게 올라가고 있다”며 “북한 주민에게 인도적 식량지원을 하기 위한 예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한나라당 의원으로서는 ‘이색적’인 요구를 내놓았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