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구 “누가 뭘 하는지 몰라”
남경필 “한반도특위 구성”
임태희 “물류 수단 회의적”
남경필 “한반도특위 구성”
임태희 “물류 수단 회의적”
운하를 위한 물길 잇기보다는 4대강 하천정비부터 손을 대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구상을 놓고, 한나라당 내에서조차 회의적인 기류가 흐르고 있다. 여당의 현직·차기 정책위의장조차 이 대통령이 밝힌 하천정비 사업이 운하 정비용인지, 환경오염·재해 방지용인지 가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이한구 정책위의장은 26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이 대통령이 밝힌 하천 정비사업은 4대 강 본류를 다루는 것인데 이는 지류의 수질 개선을 위주로 노무현 정부 때 수립한 하천정비 계획과 많이 다른 내용으로 국가 재정이 훨씬 많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재난방지를 위한 제방쌓기라면 민자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 예산이 매우 많이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그는 운하사업의 논의 과정에서 당이 소외되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도 에둘러 표현했다. 이 의장은 “(하천정비사업이) 아주 새로운 얘기라서 나도 나중에 알아봤는데, 이렇게 되면 (운하 반대론자들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대응도 매우 달라져야 할 것이다. 사실 지금 운하 관련해서는 누가 뭘 어떻게 하는지도 잘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30일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임태희 신임 정책위의장도 이날 <평화방송>의 라디오프로그램에서 “당정청 간에 아직 정확한 조율안이 나온 건 아니기 때문에 제 의견을 말씀 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임 의원은 이어 “운하를 위한 정비냐, 단순히 물 부족이나 환경차원에서의 정비냐에 따라서 사업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며 “물류 수단으로서 운하의 필요성에 대해선 조금 회의를 갖고 있다. 다만 물 부족에 대비하고 유량을 늘림으로써 하천환경을 보다 더 좋게 개선하는 물길 정비사업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물류 수송을 위한 운하를 만들려고 하천 정비 사업을 벌이는 것에 대해선 조심스럽지만 반대 뜻을 보인 것이다.
당내에선 정부가 운하를 추진하면서 보다 투명한 과정을 통해 국민들에게 사업 내용을 알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남경필 의원은 “국회에서 한반도대운하특위 같은 것을 구성해 운하 사업의 장단점을 과학적·실증적으로 따져보고 여론을 모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