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경실련, 여성정치세력 민주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23일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사 앞에서 서울시의장 선거 금품수수 사건에 연루된 시의원 30명의 즉각 제명과 당의 공식 사과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민노 “하자”…선진 “지켜보고”
서울시의회 의장 선거를 앞두고 금품을 받은 한나라당 서울시의원 30명에 대한 주민소환 움직임이 구체화하고 있다. 원혜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 참석해 “서울시의회 뇌물사건이 도마뱀 꼬리 자르기로 끝나는 것 같은데, 지금 필요한 것은 시민을 모독하는 의원들의 의원직 박탈”이라며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등 네 야당이 공조해 주민소환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구속된 김귀환 의장을 비롯해 김진수 부의장, 이지철 재정경제위원장, 이진식 환경수자원위원장을 필두로 뇌물사건 관련자에 대한 주민소환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홍기돈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정책부장은 “김 부의장과 이지철·이진식 위원장 등 세 사람은 김 의장으로부터 돈을 받았는데도 부의장·상임위원장에 선출된 인물”이라며 “특히 김 부의장은 김 의장이 구속된 지난 14일에도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했기 때문에 이들부터 주민소환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홍 부장은 또한 “법적 요건이 까다로워 주민소환 투표로 시의원들을 해임시키는 것이 쉽지 않지만 투표를 실시하는 것만 해도 정치적 의미가 크기 때문에 이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이날 “주민소환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검찰 수사를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주민소환제는 시의원의 경우 유권자 20% 이상의 서명을 받아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투표율 33% 이상, 투표자 과반수가 찬성해야 해임시킬 수 있다. 지난해 12월 경기 하남시장에 대한 소환투표가 처음 실시됐으나 유효 투표율 미달로 부결된 적이 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