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책임론 잘못…의사결정 의원들 참여해야”
국회에서 4일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는 여야간 원구성 협상 결렬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의사소통 부재와 그 책임론을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일부 의원들은 협상 결렬 직후 `청와대 책임론'이 불거지고 협상 자체에서도 야당에 너무 많은 것을 양보했다며 지도부를 성토한 반면 원구성 협상은 원내대표가 전권을 가진 만큼 홍준표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주자는 의견도 다수 제기됐다.
김정권 원내 대변인은 의총 직후 브리핑에서 "원구성 협상 결렬이 청와대 책임으로 비치는 건 잘못이라는 인식과, 중요한 의사 결정에 있어선 의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소통의 기회를 많이 마련해달라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소개했다.
안형환 의원은 비공개 의총에서 "대통령을 전면에 내세우지 말고 당에서 대통령을 보호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대통령을 욕하면 한나라당도 공멸하는 것"이라고 원구성 협상 결렬 뒤 청와대 책임론이 제기된데 대해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동규 의원도 "청와대 책임론이 나와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친이 직계로 분류되는 정태근 의원은 "당이 중요한 사안을 결정할 때는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물어야 한다"며 BBK사건을 포함한 대선 관련 고소.고발 취하, 쇠고기 국정조사에서의 PD수첩 증인채택 철회 등을 거론한 뒤 "이런 것들은 우리에겐 손해이며 민주당에는 족쇄를 풀어준 것이어서 안타깝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권택기 의원도 "당과 의원들 간의 소통의 기회를 넓혀야 한다"고 했고, 주성영 의원은 소통 확대를 위해 `연찬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반면 한선교 의원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일임했으니 홍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효대 의원도 "대북 문제니 세금 문제니 나올 때마다 당론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구성 협상도 마찬가지"라며 "원내대표에게 일임했으면 맡긴 다음에 잘못이 있으면 책임지도록 해야지 협상 도중에 자꾸 태클을 걸면 안된다"고 원내대표단을 옹호했다. 이에 홍 원내대표는 "정책의총을 비롯해 의총을 자주 가지면서 의원들의 의사를 적극 반영해 협상에 임하겠다"며 "원내대표 취임 이래 오해가 많았지만 이젠 청와대와 내각이 정상 업무에 복귀했기 때문에 원내 일에만 치중하겠다"고 했다. 그는 "그동안 잘못한 것은 모두 내 책임"이라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소통의 기회를 자주 갖겠다"고 말했다. 또 "배를 띄울 때까진 힘이 많이 들지만 배가 뜨면 순항할 것"이라고 국회 원구성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한 뒤 야당에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야당을 정치 파트너로서 인정한다면 그 정도는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의총 분위기에 대해 김 원내 대변인은 "이번 의총을 통해 협상 결렬의 책임이 청와대로 지목된 오해가 해명되어 의원들이 결속하는 계기가 됐다"며 "원내사령탑인 홍 원내대표 중심으로 힘을 실어야 한다는 말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권택기 의원도 "당과 의원들 간의 소통의 기회를 넓혀야 한다"고 했고, 주성영 의원은 소통 확대를 위해 `연찬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반면 한선교 의원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일임했으니 홍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효대 의원도 "대북 문제니 세금 문제니 나올 때마다 당론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구성 협상도 마찬가지"라며 "원내대표에게 일임했으면 맡긴 다음에 잘못이 있으면 책임지도록 해야지 협상 도중에 자꾸 태클을 걸면 안된다"고 원내대표단을 옹호했다. 이에 홍 원내대표는 "정책의총을 비롯해 의총을 자주 가지면서 의원들의 의사를 적극 반영해 협상에 임하겠다"며 "원내대표 취임 이래 오해가 많았지만 이젠 청와대와 내각이 정상 업무에 복귀했기 때문에 원내 일에만 치중하겠다"고 했다. 그는 "그동안 잘못한 것은 모두 내 책임"이라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소통의 기회를 자주 갖겠다"고 말했다. 또 "배를 띄울 때까진 힘이 많이 들지만 배가 뜨면 순항할 것"이라고 국회 원구성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한 뒤 야당에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야당을 정치 파트너로서 인정한다면 그 정도는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의총 분위기에 대해 김 원내 대변인은 "이번 의총을 통해 협상 결렬의 책임이 청와대로 지목된 오해가 해명되어 의원들이 결속하는 계기가 됐다"며 "원내사령탑인 홍 원내대표 중심으로 힘을 실어야 한다는 말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