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앞줄 오른쪽부터), 홍준표 원내대표, 임태희 정책위의장 등 당 지도부가 16일 오후 국회에서 ‘추경안 무산에 따른 대책과 홍준표 원내대표 거취 문제’ 등을 논의하려고 열린 의원총회에서 각기 다른 표정으로 회의 진행을 지켜보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홍 원내대표 거취 유보
친이 “‘적자’ 아닌데다 궁합도 안 맞아” 압박
친박 “순혈주의보다 좌충우돌이 낫다” 엄호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진퇴문제가 묘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누구도 의도하지 않았는데 ‘친이-친박’ 대립 구도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모양새다. 범이명박계로 분류되는 홍 원내대표를 놓고 ‘이명박 친위부대’는 적극적인 책임론을 제기한 반면, 박근혜계 의원들은 적극적으로 엄호하고 나선 것이다. 16일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홍 원내대표를 향한 이명박계 의원들의 성토는 예상보다 거칠었다. 진수희 의원은 “홍 원내대표 외에 대안이 없다는 것은 패배주의적 발상이고, 원내대표가 잘못을 했으면 다시 선출하는 게 상처를 치유하는 일일뿐더러 집권당으로서 국민을 안심시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비공개로 진행된 의총에서 이렇게 말한 뒤, 기자들을 만나서도 자신의 발언을 그대로 공개했다. 김영우 의원도 “홍 원내대표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추경안을 처리해야 하지만, 홍 원내대표 스스로 책임지겠다고 했으니 책임지는 게 국민의 신뢰를 얻는 첫걸음”이라고 압박했다. 정태근·권택기·김용태 의원 등도 줄줄이 홍준표 사퇴론을 제기했다. 며칠 전 김용태 의원 한 사람에서 시작된 홍준표 사퇴론이 이처럼 번진 것은 이명박계 의원들이 지난 주말 삼삼오오 모여 ‘행동 전략’을 논의한 결과로 알려졌다. 이명박계가 홍 원내대표를 이처럼 비난한 까닭은, 이명박 정부의 ‘적자’가 아닌 홍 원내대표가 당을 일사불란하게 이끌어가지 못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의 한 핵심 측근은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주요 입법과제들이 있는데 홍 원내대표가 이를 효과적으로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 강하며, 최근 연말 개각 발언 등으로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는 발언을 함으로써 오히려 정권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강경 친이 의원들은 비록 야권과 충돌을 빚더라도 거대 여당의 세를 몰아 정부의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원내사령탑을 원한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처럼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이거나 돌출적 발언을 하는 인물은 이명박 정부와 ‘궁합’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당내에선 친이 의원들이 비록 이번에 홍 원내대표를 날리진 못하더라도, 적어도 세 과시로 ‘길들이기’ 정도의 효과는 거두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박근혜계의 ‘홍준표 엄호’는 이명박계 독주에 대한 정서적 거부감과 견제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명박 순혈주의’보다는 차라리 ‘좌충우돌 홍반장’이 낫다는 것이다. 이날 의총에서 이인기·손범규·박종희·이정현 등 친박계 의원들이 “위기를 기회로 삼아 심기일전하자”며 홍 원내대표를 두둔하고 나선 것도 이런 맥락으로 읽힌다. 그러나 박근혜계의 핵심 의원은 이에 대해 “우리가 조직적·전략적으로 홍 원내대표를 두둔한 것이 아니다”라며 “개별 의원들은 사전 조율 없이 자기 생각을 이야기했을 뿐인데 우연히 ‘친박계의 의견’처럼 비친 것”이라고 말했다. 친이가 사전계획에 따라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면, 친박은 그저 우연적 요소가 겹치면서 자연스럽게 흐름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홍 원내대표의 진퇴는 한동안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친이-친박 대결구도를 다시 되살릴 위험성을 안고 있다. 당내 지도부 진용을 새로 짜야 하는 상황에 부닥치면 양쪽 모두 권력의 논리에 휘말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유주현 조혜정 기자 edigna@hani.co.kr
친박 “순혈주의보다 좌충우돌이 낫다” 엄호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진퇴문제가 묘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누구도 의도하지 않았는데 ‘친이-친박’ 대립 구도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모양새다. 범이명박계로 분류되는 홍 원내대표를 놓고 ‘이명박 친위부대’는 적극적인 책임론을 제기한 반면, 박근혜계 의원들은 적극적으로 엄호하고 나선 것이다. 16일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홍 원내대표를 향한 이명박계 의원들의 성토는 예상보다 거칠었다. 진수희 의원은 “홍 원내대표 외에 대안이 없다는 것은 패배주의적 발상이고, 원내대표가 잘못을 했으면 다시 선출하는 게 상처를 치유하는 일일뿐더러 집권당으로서 국민을 안심시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비공개로 진행된 의총에서 이렇게 말한 뒤, 기자들을 만나서도 자신의 발언을 그대로 공개했다. 김영우 의원도 “홍 원내대표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추경안을 처리해야 하지만, 홍 원내대표 스스로 책임지겠다고 했으니 책임지는 게 국민의 신뢰를 얻는 첫걸음”이라고 압박했다. 정태근·권택기·김용태 의원 등도 줄줄이 홍준표 사퇴론을 제기했다. 며칠 전 김용태 의원 한 사람에서 시작된 홍준표 사퇴론이 이처럼 번진 것은 이명박계 의원들이 지난 주말 삼삼오오 모여 ‘행동 전략’을 논의한 결과로 알려졌다. 이명박계가 홍 원내대표를 이처럼 비난한 까닭은, 이명박 정부의 ‘적자’가 아닌 홍 원내대표가 당을 일사불란하게 이끌어가지 못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의 한 핵심 측근은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주요 입법과제들이 있는데 홍 원내대표가 이를 효과적으로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 강하며, 최근 연말 개각 발언 등으로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는 발언을 함으로써 오히려 정권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강경 친이 의원들은 비록 야권과 충돌을 빚더라도 거대 여당의 세를 몰아 정부의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원내사령탑을 원한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처럼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이거나 돌출적 발언을 하는 인물은 이명박 정부와 ‘궁합’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당내에선 친이 의원들이 비록 이번에 홍 원내대표를 날리진 못하더라도, 적어도 세 과시로 ‘길들이기’ 정도의 효과는 거두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박근혜계의 ‘홍준표 엄호’는 이명박계 독주에 대한 정서적 거부감과 견제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명박 순혈주의’보다는 차라리 ‘좌충우돌 홍반장’이 낫다는 것이다. 이날 의총에서 이인기·손범규·박종희·이정현 등 친박계 의원들이 “위기를 기회로 삼아 심기일전하자”며 홍 원내대표를 두둔하고 나선 것도 이런 맥락으로 읽힌다. 그러나 박근혜계의 핵심 의원은 이에 대해 “우리가 조직적·전략적으로 홍 원내대표를 두둔한 것이 아니다”라며 “개별 의원들은 사전 조율 없이 자기 생각을 이야기했을 뿐인데 우연히 ‘친박계의 의견’처럼 비친 것”이라고 말했다. 친이가 사전계획에 따라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면, 친박은 그저 우연적 요소가 겹치면서 자연스럽게 흐름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홍 원내대표의 진퇴는 한동안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친이-친박 대결구도를 다시 되살릴 위험성을 안고 있다. 당내 지도부 진용을 새로 짜야 하는 상황에 부닥치면 양쪽 모두 권력의 논리에 휘말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유주현 조혜정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