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가운데) 민주당 대표가 25일 한나라당의 언론 관련법 상정 시도 직후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모든 것은 무효이고, 국회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책임은 한나라당에 있다”고 밝히고 있다.강창광기자 chang@hani.co.kr
언론법 기습상정 파장
최상재 위원장 “야당·시민과 연대 정권퇴진 운동”
MBC 26일 전면 제작거부…SBS 등 비대위 열어
최상재 위원장 “야당·시민과 연대 정권퇴진 운동”
MBC 26일 전면 제작거부…SBS 등 비대위 열어
전국언론노동조합은 25일 한나라당이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언론 관계법 상정을 강행하자 즉각 총파업 재개를 선언했다. 언론노조는 이날 오후 “정권이 언론악법을 상정한 만큼 전면 제작거부를 포함해 지난 연말보다 더욱 강도 높은 파업 투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전면 제작거부는 <문화방송>(MBC) 노조가 첫 테이프를 끊는다. 문방위의 ‘돌발상황’에 대비해 23일 조합원들에게 파업지침을 전달했던 문화방송 노조는 26일 아침 6시부터 전면 제작거부에 돌입하고, 2월 임시국회가 끝날 때까지 계속한다는 계획이다. 제작거부엔 정부·여당 언론법의 문제를 알리는 필수 제작인력을 뺀 전체 조합원이 참여한다. 노조는 26일 오전 10시 여의도 본사 로비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고, 이튿날엔 파업의 정당성을 알리는 거리 선전전을 펼칠 예정이다. 지역 문화방송 조합원들도 개별적으로 출정식을 열고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투쟁에 나선다.
<에스비에스>(SBS) <시비에스>(CBS) <교육방송>(EBS) 노조도 26일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제작거부 등 파업 투쟁 방식을 논의한다. 에스비에스 노조 관계자는 “국회 상황이 급박해 아직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진 못했다”며 “26일 오전 10시 각 직능대표가 참여하는 파업대책회의를 열어 파업 방향과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방송 노조는 당장 파업에 참여하지는 않고 언론법이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파업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언론노조는 이날 오후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2차 총파업 방안을 논의했다. 언론노조산하 지·본부는 26일 개별 비상총회를 소집해 제작거부 결의를 다지고, 저녁 7시엔 각 언론사 앞에서 전국 동시다발적인 촛불집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연말 총파업 때 ‘지면파업’ 방식으로 동참했던 신문사들의 제작거부 참여도 이끌어내 투쟁 동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언론노조는 25일 오후 3시 여의도 국회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한나라당이 직권상정을 시도하지 못하도록 압박했다. 결의대회 현장 분위기는 오후 4시께 국회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격히 달아올랐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한나라당의 언론 관계법 날치기 상정을 정권퇴진 운동으로 연결시킬 것”이라며 “법안의 내용과 처리 과정의 문제점을 알리는 보도량을 늘리고, 야당 및 시민들과 연대해 정부·여당의 언론장악을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밝혔다.
민주언론 시민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이 국민의 뜻을 거스르고 끝내 다수의 힘만 믿고 악법을 처리하겠다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언론 사유화 저지 및 미디어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행동’도 “한나라당의 날치기 기도는 무효”라며 “언론노조와 연대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