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4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3월 임시국회를 수용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한나라 “방탄국회 피해 중순이후 소집”…민주당 “절대불가”
통상 홀수달인 3월에는 임시국회가 새로 열리지 않는다. “매 짝수 달(8·10·12월 제외) 1일에 임시회를 소집한다”는 국회법 규정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3일까지 이어진 2월 임시국회가 끝나기 무섭게 정치권에선 다시 임시국회 소집 논란이 일고 있다. 2월 국회의 ‘성적표’가 못내 아쉬운 한나라당이 먼저 들고 나섰다. 3월에 임시국회를 열어 2월에 처리하지 못한 쟁점 법안들을 통과시키겠다는 태도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4일 최고·중진 연석회의에서 “법사위에 계류 중인 금산분리완화 관련법, 국민연금법 등 2~3개를 4월 국회 이전이나 4월 국회에서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3월 ‘방탄 국회’는 열지 않겠다. 3월 국회를 (곧바로) 하게 되면 수사 중이거나 계류 중인 (야당 의원 관련) 사건들을 회기중 불체포 특권을 빙자해 회피할 수 있다”고 했다.
휴지기를 거치며 당내 후유증을 털어낸 뒤 3월 중반이나 후반에 임시국회를 소집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국회 폭력사태 등에 연루된 야당 의원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검·경찰에 시간을 주겠다는 속내도 엿보인다.
이에 민주당은 ‘절대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3·2 여야 합의’에서 처리하기로 한 법안조차 제때 ‘찾아 먹지’ 못한 한나라당이 이제 와서 3월 국회를 소집하자는 데는 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법에 따라 앞으로 25일 뒤면 국회가 열린다. 도대체 3월 말 국회와 4월1일 국회가 뭐가 다르냐”며 “우리 당은 3월 국회 (소집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강희철 성연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