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정국·범국민대회로 연대 강화
국회 지연 역풍 우려 ‘민생 챙기기’
국회 지연 역풍 우려 ‘민생 챙기기’
지난해 촛불집회에서 민주당은 ‘찬밥’ ‘눈칫밥’을 먹었다. 일부 의원은 싸늘한 시민들한테 둘러싸여 경찰이 쌓아놓은 ‘명박산성’(컨테이너)쪽으로 밀려나는 수모도 겪었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당시 몇몇 의원이 경찰이 쏜 소화기 가루를 뒤집어쓰고 나서야 시민들의 냉랭한 마음이 다소 누그러졌다”고 기억했다.
지난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항쟁 범국민대회에서 민주당은 1년 전과 다른 경험을 했다. ‘국회를 외면한다’는 역풍을 무릅쓰고 천둥치는 광장에서 ‘1박2일 천막 노숙투쟁’을 통해 범국민대회를 맨앞에서 성사시키자, 현장에선 “잘했다”는 격려가 이어졌다. 정범구 민주당 대외협력위원장은 “민주당이 지난해 말 (정당·시민사회단체 연대기구인) 민생민주국민회의에 들어간 이후 최근까지도 민주당을 왜 끼워주느냐는 부정적 시선이 있었는데, 이제 민주당을 연대의 대상으로 진지하게 바라볼 만큼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범국민대회 ‘야외학습’을 계기로 민주개혁진영의 들러리에서 구심점으로 거듭나기 위한 행보를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당장 정세균 대표는 지난 14일 ‘6·15 선언 범국민실천대회’ 참여, 15일 개성공단 입주대표 만남, 16일 운하백지화국민행동 시민단체 면담 등 현장과의 스킨십을 늘리고 있다.
강기정·조정식·최재성·백원우·김상희·최영희 의원 등 개혁성향의 초·재선 10인 모임이 “국민과의 소통”을 강조하며 최근 발족한 것도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강기정 의원은 “국민이 민주당에 맡긴 일을 책임있게 해낼 때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초안이 나온 ‘뉴민주당 선언’에 진보적 정책들이 보강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당내에 다시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은 6월 국회 개회 지연으로 인한 여론악화를 차단하면서, 모처럼 활기를 띤 민주개혁진영과의 연대를 어떻게 단단히 다져나갈지 고민하고 있다. 윤호중 전략위원장은 “시민·사회단체에서 부산·대구 등 전국 순회 시국집회를 제안해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원내에선 (이명박 대통령 사과, 특검 등) 5대 선결조건을 최대한 얻어내고 6월 국회를 열어 (미디어법 등) 엠비악법 저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민생민주국민회의 안진걸 정책팀장은 “범국민대회를 통해 민주당과의 연대가 양과 질적으로 모두 진전된 게 사실”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민주당이 민주주의·민생·남북관계 3대 위기, 정부의 야당·국민 무시에 대해 단호히 싸워 따낼 건 따내지 못하고 넘어가는 모습을 보이면 민주당에 대한 기대감이 또 식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