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정국 살피며 일정·핵심내용 바꿔
장담하던 전당대회 시기도 결론 못내려
장담하던 전당대회 시기도 결론 못내려
4·29 재보궐선거 참패 뒤 당·정·청 쇄신을 목표로 출범한 한나라당 쇄신위원회(위원장 원희룡)가 활동 마감 시한을 앞두고 다시 흔들리고 있다. 애초 6월말까지 쇄신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혀왔으나, 최근 여야의 대치 국면과 청와대 개편 움직임 등을 살피면서 최종안의 보고 시기는 물론 핵심 내용까지 변경하고 있다.
김선동 쇄신위 대변인은 28일 오후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적인 관심사인 비정규직법 처리가 매듭된 직후 쇄신안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초 29일 당 최고위원회에 쇄신안을 보고하고, 의원총회를 열어 확정하기로 한 내부 일정을 갑자기 변경한 것이다. 이와 관련 한 쇄신위원은 “일부 위원들이 ‘여야가 비정규직법 처리를 두고 국회에서 치열하게 다투는 상황에서 쇄신위가 당내 분란을 조장해서는 안된다’며 쇄신안 보고를 미루자고 요구했다”고 전했다.
쇄신위는 또 지난 26일까지 20여차례 공식회의를 통해 쇄신안을 대부분 확정했다. 그러나 쇄신의 핵심인 당 지도부 사퇴와 전당대회 시기, 정부·청와대의 인적쇄신 요구는 여전히 추상적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당장 쇄신위는 당내 각 계파들이 9월, 내년 1월로 갈려 논쟁을 거듭해온 전당대회 시기를 최종확정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그러나 26일 마지막 회의에서 “청와대의 쇄신 폭과 내용을 가늠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전당대회 시기를 결론짓지 못했다. 다른 한 쇄신위원은 “박근혜 전 대표가 참여하는 화합형 전대를 위해서는 내년 1월이 적기라는 의견이 많았으나, 이명박 대통령이 7월에 정부와 청와대에 대한 인적쇄신에 나설 경우 한나라당만 변화를 기피하는 모양새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결정을 못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대대적 개편에 나설 경우 당에서도 박희태 대표의 사퇴가 조기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1월 전대로 못박는 게 위험하다는 정치적 계산이 작용한 것이다. 쇄신위는 또 정부와 청와대에 대한 인적쇄신 필요성은 강조하되, 여권의 내부 분란을 우려해 구체적인 대상자는 보고서에 담지 않기로 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