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세력간 광폭 통합”
호남쪽 주로 “정동영 복당”
호남쪽 주로 “정동영 복당”
민주당이 내년 6월 지방선거와 2012년 대선 승리를 위해 당 혁신을 통한 민주개혁진영의 ‘통합’ 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통합 범위와 수순을 둘러싼 내부 시각차 탓에 진통도 예상된다.
민주당은 지난 4일 ‘혁신과 통합을 위한 뉴민주당 추진위원회’ 위원장에 김원기 전 국회의장을 임명한 데 이어, 당 최고위원 3명을 공동 부위원장으로 두기로 했다. 공동 부위원장은 옛 민주계 몫으로 김민석·박주선 최고위원, 노무현계인 안희정 최고위원 등 3명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위원회 밑엔 통합·연대, 정당개혁, 인재개발 등 3개 분과위원회도 설치한다.
그러나 위원회 내부에서도 통합의 내용에 대한 이견이 적지 않다. 우선 안 최고위원은 민주당과 민주당 밖 민주개혁세력들이 연대하는, 세력 대 세력 간 ‘광폭 통합’을 주장한다. 특히 그는 민주노동당과의 ‘당 대 당’ 통합까지 논의를 확장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안 최고위원은 6일 “통합은 인물 몇 사람 영입을 넘어 민주개혁진영을 정당이라는 통합질서로 재구축해 항구적 연대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시민운동 진영, 풀뿌리 조직인 네티즌, 민주당 밖 참여정부 세력, 노동계 등 민주개혁 세력들과 폭넓게 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서민과 중산층의 정당이라고 말하는데, 서민과 중산층은 모두 노동자”라며 “민주노동당과도 제한적인 선거연대를 넘어서 지분 형태의 당 대 당 통합을 할지, 공정한 게임의 규칙과 추구하는 가치들을 놓고 진검 승부를 펼쳐 통합할지도 논의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박 최고위원 등 옛 민주계와 일부 호남 출신 의원들은 민주당과 등을 지고 나간 무소속 정동영 의원의 복당을 주요하게 언급한다. 박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추진하는 대동단결에서 정동영 의원이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은 친노세력과의 통합에는 시큰둥하다. 한 호남 지역구 의원은 “친노 세력을 대거 다시 받아들이면 실패한 열린우리당의 재판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호남 지역구 의원들의 당내 기득권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들은 민노당과의 통합 논의에 대해서도 대체로 부정적이다.
당 혁신을 위해 공천제도 등도 손질된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민주개혁세력과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헌·당규의 개정, (공정한) 공천 제도 개선, (국민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소통방식 개선 등 정당 개혁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