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민주당 전 대표(왼쪽)가 28일 저녁 경기도 수원 이찬열 후보 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정된 이 후보를 끌어안으며 기뻐하고 있다. 수원/김진수 기자 jsk@hani.co.kr
[10·28재보선 이후]
수원 장안 승리 이끈 뒤 춘천행
지방선거 등 당내입지 장고할듯
수원 장안 승리 이끈 뒤 춘천행
지방선거 등 당내입지 장고할듯
경기 수원 장안 재선거를 승리로 이끈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29일 오후 춘천을 향해 떠났다. 본인이 직접 나서지 않고 측근을 출마시키는 ‘분신정치’에 성공해 자신의 위력을 확인시킨 뒤, 다시 ‘쉼표 정치’로 돌아간 것이다.
손 전 대표는 이날 아침 일찍 수원 지역의 종교계 인사들을 만난 뒤 곧바로 춘천으로 직행할 예정이었으나 “신세진 분들에게 인사는 해야겠다”며 2~3일 더 머무르는 것으로 일정을 바꿨었다. 그러나 “아무래도 가야겠다”며 곧 마음을 돌이켜 다시 승용차에 몸을 실었다.
그는 스스로 출마하는 ‘손쉬운’ 길을 버리고, 여당 후보에게 20% 포인트 이상 지는 것으로 나타난 무명의 정치신인인 이찬열 후보를 내세웠다. 승산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였다. 하지만, ‘도박’은 성공했고, 그는 적어도 수도권에서는 ‘선거의 남자’로 떴다. 민주당에게도 이번 승리는 손 전 대표가 출마해 당선됐을 경우보다 정치적 의미가 더 크다.
손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지난 4·29 재보선 때 인천 부평을에 이어 이번에 홈런을 제대로 치면서 그의 정치적 위상이 한껏 올라갔다”며 “민주당에선 그를 당내에 불러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좀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그에 대한 정치적 수요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대표도 전날 수원 장안 승리가 확실시되자 즉각 손 전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감사를 표했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가는 간단한 일정조차 좌고우면할 정도로, 손 전 대표의 머릿속은 여전히 복잡해 보인다. 또다른 한 측근은 “어차피 내년 지방선거가 되면 당이 그를 필요로 할 것이므로 느긋한 마음으로 시간을 보내면 되지만, 당으로 돌아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답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의 고민은 ‘의붓자식 콤플렉스’를 완전히 씻어내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 같다. 2007년 대선 때 한나라당을 탈당해 당시 대통합민주신당에 몸을 실었지만, 야권 지지자들은 한나라당에서 건너온 그의 정체성을 의심했다. 이 때문에 그는 대표를 지내면서도 당내 기반을 다지지 못했다. 이번 승리는 야권내에서 그의 정치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민주당이라는 틀에서 견고한 지지층을 과연 확보할 수 있느냐에 대한 그의 의구심은 여전한 것 같다. 정치 일선으로 돌아갈 시기와 방법을 두고 그가 ‘장고’를 계속하는 까닭이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