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이정희 의원
야권 선거연대 토론회
진보신당보다 연합에 적극적
정책연합·지방공동정부 공감
진보신당보다 연합에 적극적
정책연합·지방공동정부 공감
“어떤 방식으로든 연합해야 한다.” 20일 ‘희망과 대안’,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 네트워크’가 주최한 연속 토론회 ‘2010 연합정치 실현, 구체적 길을 묻다’의 세번째 초청 인사인 이정희 민주노동당 의원은 야권 연대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범야권의 6·2 지방선거 연대에 대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철회’ 요구를 민주노동당이 포기할 순 없지만, 이것이 지방선거 연대를 좌우하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등이 한미 자유무역협정 철회 등의 정책에 동의해야만 지방선거 연대를 할 수 있다고 하는 진보신당에 비해 유연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 의원은 “‘(야권이) 어떻게든 하나로 합쳐내지 않으면 앞으로 숨 쉬고 살 수 있나, 또 이 나라에서 살 수 있겠어’라는 생각으로 연대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소 ‘반 엠비(MB·이명박)연대’를 주장해온 그는 “교육과 아이들 돌봄 문제, 주민이 참여해 예산을 만드는 것, 고용문제 등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정책연합을 만들어야 한다”며 “연대의 절박감을 인식하고 상대방의 단점을 뒤로 물려놓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토론회에 첫번째로 초대됐던 국민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연대 주체끼리) 갈등을 야기할 큰 이슈는 못 본 척하고 민생, 교육 등 지방선거와 관련된 정책부터 연합하자”고 한 것과 맥락이 같다. 이 의원은 연대주체들이 지방공동정부를 구성하자는 방안에 공감하면서, “(연대주체들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두고 이 위원회가 지방정부 운영에 구속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선거연대를 압박하는 시민사회 조직에 ‘친 민주당’ 인사가 많다는 진보신당의 지적에 대해선 “과거 어떤 일을 했는지보다 지금 무엇을 얘기하고 무엇을 하자는 것인지에 주목해야 한다”며 진보신당의 이해를 구했다. 그는 민주노동당의 지방선거 목표와 관련해선, “광역단체장 (당선)은 울산광역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등은 창원과 광주, 전남, 수도권 몇 군데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