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를 50일 앞두고 야권 후보 단일화 논의가 막판 속도를 내고 있다. 야권 협상기구인 ‘4+4 회의’는 12일 밤 심야 논의에서 연대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던 경기도지사 단일후보 선출방식에 잠정 합의를 이뤘다.
협상에 참여중인 윤호중 민주당 수석부총장은 13일 “경기도지사 단일화 방식에 한해 참여당의 논의 위임을 받은 시민단체와 협상을 벌여 여론조사 50%, 국민참여 경선 50% 비율을 혼합하는 것으로 잠정 합의를 봤다”고 밝혔다. 국민참여 경선 60%, 여론조사 40%를 주장하던 민주당과 여론조사 100%를 요구했던 참여당 사이의 간극이 ‘5 대 5’에서 절충된 것이다.
여론조사도 ‘후보 경쟁력’만 묻기로 하는 등 구체적 방식에서 의견 접근을 봤다. 시민단체 쪽 박석운 ‘2010 연대’ 운영위원은 “여론조사의 경우 ‘경기도지사 후보인 김진표 민주당 최고위원과 참여당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중 누가 더 경쟁력이 있는가’를 조사하기로 의견이 모아졌다”며 “국민참여 경선은 온라인과 방문접수를 통해 경기도민들의 참여 신청을 받아 연령·지역 등을 고려해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한 뒤 하루 동안 경기도 55개 선거사무소에서 현장투표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때 적용한 후보 경쟁력으로 접점을 찾은 것이다.
참여당도 경기도지사 단일화 방식 협상을 시민단체에 맡긴 만큼 국민참여 경선 방식 등의 최종 절충안이 나오면 거부하기는 어려울 듯 보인다. 다만, 천호선 참여당 최고위원은 “국민참여 경선에서 민주당의 조직동원 투표 가능성을 막도록 설계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는 국민참여 경선에 ‘시민사회 추천 선거인단’을 적정 비율로 포함하는 안을 민주당에 제안하고 추가 논의를 벌이고 있다.
이처럼 연대 협상의 일시 중단까지 불러온 ‘경기도 문제’가 해결의 가닥을 잡음에 따라 야권 단일화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야권은 인천시장도 연대하기로 지역에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중앙 차원의 연대 논의가 협상 종료 시한인 15일까지 ‘최종 합의’에 이르려면 넘어야 할 고비도 많다. 민주당이 ‘3월16일 잠정합의’ 당시 다른 야당에 내주기로 한 수도권 11개 기초단체장의 일부 회수, 수도권 광역의원 양보 비율 ‘절반 축소’를 주장하는데다 ‘호남 양보’에도 부정적이어서 진통이 예상된다. 연대 논의에서 빠진 진보신당과의 후보 조정 문제도 과제로 남아 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